넉넉하고 푸근한 인상은 이웃집 아저씨를 연상케 한다. 목소리는 나긋나긋하고, 부드러운 대구 사투리는 귀에 착착 감긴다. 진료를 받으러 찾아오는 환자들로선 마음이 조금이나마 편해질 만하다. 어려운 내용을 쉽고 자세하게 설명해주는 것도 배창훈(47) 영남대병원 이비인후과 교수의 또 다른 장점이다.
그는 한때 개원했다가 대학으로 돌아와 학생들을 가르치며 진료와 연구를 병행 중이다. 비록 수입은 좀 줄었지만 학생들을 가르치며 환자를 돌보는 삶에 만족한다. 배 교수는 "후회하지 않는다. 벌이가 줄었을 텐데 흔쾌히 대학으로 다시 보내준 아내에게 고맙다는 말을 전하고 싶다"며 웃었다.
◆성실하고 뚝심 있는 사람이 적성에 맞다
요즘 고등학교 자연계열 최상위권 학생들은 '모두 의대 지망생'이라는 말이 낯설지 않다. 배 교수 자신도 의사지만 그런 상황은 다소 아쉽다. 사회적, 경제적 지위가 상대적으로 괜찮은 탓에 의대 선호 현상이 당분간 이어질 것 같다는 게 배 교수의 생각이다.
그는 "창의적인 학생들은 기초과학을 선도하고, 이쪽은 뚝심 있고 성실한 학생들이 맡아 양쪽이 고루 발전하는 게 더 좋을 것"이라며 "의사는 지식과 결단력도 중요하지만 책임감과 중압감을 이겨낼 수 있는 게 가장 중요하다. 물건은 잘못 만들었을 때 다시 만들어도 되지만 의사는 한 번 실수로 돌이킬 수 없는 결과가 생길 수 있다는 걸 명심해야 한다"고 했다.
2000년대 초반 그는 3년 동안 의원을 운영했다. 덕분에 경제적으로는 윤택했다는 게 그가 전한 말. 하지만 재미는 없었다며 웃음을 지었다. 배 교수는 "애매한 질환이면 대학병원으로 보내야 하니 환자를 끝까지 챙기기도 쉽지 않았다"며 "다양한 질환과 환자를 경험하기엔 대학병원이 '딱'이었다. 노동 강도는 세지만 그만큼 역동적이어서 좋았다"고 했다.
대학병원으로 돌아온 배 교수는 요즘 꿈꾸던 것과 달리 바쁘다면서도 얼굴에선 즐거운 기색이 엿보인다. 환자 진료뿐 아니라 학생 지도, 논문 작성과 연구 등으로 시간에 쫓긴다. 그는 "40대 후반까진 시간이 많이 부족하다. 예전 같으면 이 나이 때 여유가 좀 있겠지만 이젠 다르다. 요즘은 무한 경쟁시대다. 그래도 재미있다"고 했다.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어지럼증 전문가
배 교수는 주목받는 의료인이다. 이미 세계 3대 인명사전 중 하나인 '마르퀴즈 후즈 후'가 주는 평생공로상을 2017년 받았다. 이 상은 마르퀴즈 후즈 후가 각 분야에 탁월한 업적을 이룬 인물에게 주는 것. 배 교수는 이비인후과 분야 가운데 중이와 내이 분야(중이염, 난청, 이명)에서 활발한 수술과 연구 성과를 내고 있다. 지역 어지럼증 분야의 권위자로 꼽힌다.
어지럼증은 배 교수가 캐나다 토론토대학으로 연수를 다녀올 정도로 깊이 있게 연구한 분야. 그는 "응급실에 실려오는 게 아니라면 병원을 찾는 환자의 70%가 귀에서 생기는 질환 탓에 어지러운 것"이라며 "이석증, 메니에르병, 급성 전정 신경염 등 세 가지가 대표적이다. 이들 세 질환만 잘 치료해도 명의가 된다고 말할 정도다"고 했다.
배 교수는 이명에 대해서도 연구를 이어가고 있다. 이명은 원인이 다양하고, 꾸준히 치료할 경우 60~80%는 상태가 괜찮아진다는 게 배 교수의 설명. 그는 "이명 현상 유발 인자가 있으면 회피하는 게 좋다. 적응하고 습관화시켜 민감도가 떨어지게 하는 게 바람직하다"며 "상태가 좋아지려면 시간이 많이 필요하다. 방법도 한 가지가 아니다"고 했다.
말로는 한숨을 돌려야 한다지만 배 교수는 여전히 쉴 생각이 없어 보인다. 앞으로의 계획도 빡빡하다. 그는 "어지럼증에 대해 계속 공부, 능력을 좀 더 발전시키고 싶다. 교육하는 입장에선 존경받는 선생님이 되는 게 꿈이다"며 "연구자로선 영남대병원 호흡기센터의 점액에 대한 연구를 좀 더 깊이 있게 하는 데 보탬이 됐으면 좋겠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