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의도 통신] 평창, 축제의 장이 되려면

입력 2018-02-09 00:05:01 수정 2018-10-12 17:53:40

불과 몇 시간 후면, 2018 평창동계올림픽이 개막한다. 2011년 남아프리카공화국 더반 IOC 총회에서 울려 퍼진 "평창"은 세 번의 도전 끝에 이룬 성과였기에 기대도 크다.

이제 성화대에 불이 밝혀지면 우리는 동·하계 올림픽을 개최한 여덟 번째 나라가 되고, '스포츠 그랜드슬램'(동·하계올림픽, FIFA월드컵, 세계육상선수권)을 실현한 다섯 번째 국가가 된다.

누려야 할 자부심은 그러나 평창올림픽의 '북한 참여'를 둘러싼 대내외적 역학관계에 휩싸여 불안과 갈등을 퍼뜨렸다. 정치권이 촉발했던 '평화' 대 '평양' 논쟁은 '평창'을 관심 밖으로 밀어냈다. 논쟁은 진행 중이어서 선수 간 선의의 경쟁장이 되어야 할 올림픽이 진영 간 안보 경쟁장이 되지 않을까 우려된다.

'평화올림픽'은 평창올림픽을 준비하는 문재인 정부의 핵심 키워드다. '평양올림픽'은 남북한 단일팀과 한반도기 입장에 부정적인 쪽이 바라보는 시선이다.

이 둘의 충돌이 빚어낸 정부 여당과 보수진영 간 대치의 한 자락에는 4개월 앞으로 다가온 6·13 지방선거 기선 제압이라는 정치적 계산이 깔려 있다.

정부 여당에 지방선거 승리는 '정권교체의 완성'을 뜻한다. 보수 야당은 '정권 심판' 성격의 이번 선거야말로 보수층을 재집결하고 추락한 보수를 일으켜 세울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 보고 있다. 양쪽 다 물러설 수 없는 싸움이 됐다.

여당은 "'색깔론'을 덧씌우며 극단적 종북몰이를 하고 있다"고 보수 야당을 몰아붙인다. 보수 야당은 정부 여당이 "'북한 대변인'을 자처하고 있다"며 물러서지 않으려 한다.

평창에서 200㎞ 떨어진 여의도는 정치권의 '말꼬리잡기'식 언쟁으로 조용한 날이 없다.

다행히 7일 여야는 본회의를 열어 '평창동계올림픽 및 패럴림픽대회의 성공적 개최 및 올림픽 정신 구현을 위한 결의안'을 채택했다. 여기에는 올림픽대회를 이념적 대립의 도구로 삼지 않고 정치적 공방과 갈등을 자제하겠다는 등의 내용이 담겼다. 1988년 서울올림픽 당시에도 4당 원내총무 합의로 정쟁을 중단했던 전례가 있다고 한다.

중요한 것은 진정성이다. 88올림픽이 그러했듯 평창올림픽이, 나라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할 계기가 될 것이라는 데는 여야의 인식이 같다.

실천이 필요하다. 정치 게임에 올림픽이 정치 행사가 돼서도, 평창의 주역들(선수)이 가려져서도 안 된다. 이념적 대립은 잠깐 멈추고 스포츠를 즐기자. 그다음은 조용하고 냉정하게 준비하면 될 일이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