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대구 '노사평화의 전당' 제대로 지어 제대로 활용해야

입력 2018-01-24 00:05:00

대구시가 달성군 국가산업단지 안에 '노사평화의 전당'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노사 상생 및 화합 기반을 다져 대구를 기업 하기 좋은 도시로 만드는 전진기지 역할을 만들겠다는 것이 시의 구상이다. 그러나 사업 계획이 확정돼 예산까지 배정된 이 사업에 대한 비판적 여론도 없지 않다. 열악한 임금과 근로 조건 등 노동 현장의 문제점도 많은데 대구시가 기업 유치를 명분으로 노사 화합만을 지향하고 있다는 시각이 그것이다.

노사평화의 전당은 국비 100억원과 대구시비 100억원 등 총 200억원이 투입돼 2020년 완공될 예정이다. 고용노동부 공모 사업에 전국 6개 지자체가 신청서를 내 경합을 벌인 끝에 대구시가 최종 선정됐다. 이 사업은 정부 사업이지만 지난 대선 때 '대구 10대 공약'에 포함시켜 달라고 문재인 후보 캠프에 먼저 요청했을 정도로 대구시가 의욕을 보인 역점 사업이기도 하다.

다른 대형 현안도 많은데 예산 규모 200억원에 불과한 이 사업을 10대 공약에 굳이 포함시킨 대구시의 선택은 당시에도 논란을 빚은 바 있다. 이에 대해 대구시는 노사분규와 파업, 강성 노조가 기업 유치에 가장 큰 걸림돌인 현실에서 노사 화합이 잘 되는 도시 이미지를 선도적으로 구축해야 할 필요가 있었고, 노사평화의 전당 사업은 그 고민의 결과물이라고 해명하고 있다.

국내는 물론이고 세계적으로도 유례가 없는 노사평화의 전당 같은 시설물을 놓고 논란이 생기는 것은 당연하다. 이를 일부 노동단체와 시민단체의 편협한 주장이라고 규정해서는 안 된다. 자칫하다가는 노사평화의 전당이 불균형한 노사 관계로 인해 파생되는 여러 문제점마저 외면하는 시 정책의 상징물로 비칠 수 있기 때문이다.

예산이 확정됐고 사업이 본격화됐다면 과제는 어떻게 잘 지어 잘 활용할 것인가다. 콘텐츠가 아니라 하드웨어 개념으로 건물과 조형물을 짓는 데 급급할 경우 노사평화의 전당은 또 하나의 혈세 먹는 하마로 전락할 수도 있다. 따라서 대구시는 노사평화의 전당이 지역에 어떤 실체적 이익을 가져다줄지 명확한 그림과 세세한 운영 계획을 내놔야 한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