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물가정보 4인가족…작년 23만원 비해 6.9% 내려
올해 설 차례상을 차리는 데 드는 비용은 지난해보다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19일 (사)한국물가정보에 따르면 전통시장에서 올해 설 차례상 물품(4인 가족 기준'35개 품목)을 구입하는 데 드는 비용은 21만9천원으로 지난해 23만5천원 대비 6.9% 하락했다. 또 같은 기준으로 대형마트에서 장을 보면 28만7천원으로, 시장보다 28% 더 비쌌다.
한국물가정보는 지난해 설 차례상을 차리는 데 부담으로 작용했던 육류, 과일, 채소 가격이 전반적으로 하락하고 조류인플루엔자(AI) 여파로 폭등세를 빚었던 계란값도 올해는 안정세로 돌아서면서 설 차례상 비용 부담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과일의 경우 배와 사과 가격 하락세가 두드러졌다. 사과는 전년 대비 재배면적이 15%가량 늘어났고, 작황 호조에 따른 출하량 증가로 지난해보다 5%가량 가격이 낮아졌다. 배는 지난해 가을 생산된 배 가운데 대과(大果)의 비중이 늘어나면서 우수한 품질의 배 공급량이 늘어 전년 대비 9%가량 싸졌다.
대형마트의 경우 1만8천∼1만9천원대의 저렴한 과일세트를 선보이면서 평년 대비 10∼20%가량 낮은 가격에 판매하고 있다. 이에 반해 곶감, 밤, 대추 등 견과류는 보합세를 보이고 있다.
부세조기의 경우 상품 기준(25㎝) 3마리에 1만원으로 전년 대비 3천500원(25.9%)가량 내린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 국내산 부세조기의 어획량 증가로 중국산 부세조기의 가격이 내려간 영향으로 보인다.
사육두수가 늘어 공급량이 증가한 한우는 전통시장 기준 쇠고기(한우 양지국거리A1+)는 600g에 2만4천원으로 작년 대비 4%가량 내린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 산적용 우둔(1등급 기준)도 600g에 2만3천원으로 전년 대비 1천원(4%) 하락했다.
닭고기는 공급량 증가로 전년 대비 400원가량 하락한 ㎏당 3천400원에, 계란(10개 기준)은 작년보다 39% 하락한 2천원에 각각 거래되고 있다.
배추도 풍년인 데다 김장 가구 수 감소까지 겹치면서 가격이 평년 대비 30% 이상 폭락한 포기당 3천원에 형성됐다. 한국물가정보 관계자는 "사상 최악의 AI가 창궐했던 지난해와 달리 올해는 계란과 육류 가격이 안정세를 보이는 데다 과일과 채소류의 작황도 좋아 전반적으로 설 물가가 안정적인 상황"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