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공항 후보지 공전 거듭…숙원사업 스스로 풀 기회, 제발로 걷어차 버리나

입력 2018-01-12 00:05:00

실무위 이번 주에만 두 차례, 전문가위 구성 이견 팽팽…지자체장 간담회 19일로 연기

통합 대구공항 이전 사업이 새해 들어 긴 터널 속에 갇힌 형국에서 헤어나오지 못하고 있다.

4개 지방자치단체 실무위는 이번 주에만 두 차례 만났지만 공전(空轉)만 거듭하고 있는데다 그동안 두 차례 머리를 맞댄 4명의 지자체장도 합의 의지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 것이다. 일부에선 어렵게 따온 이전 후보지 결정권을 다시 국방부에 넘겨줘야 하는 등 이전사업이 '산 넘어 산'이 될 수도 있다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11일 오후 국방부에서 열린 대구시'경상북도'군위군'의성군 4개 지자체 실무위에서도 뾰족한 합의점 도달에 실패했다. 전문가위원회의 역할 및 권한에 대한 이견이 여전히 팽팽하게 맞서고 있기 때문.

대구시와 군위군은 전문가위원회에 기준 마련과 평가 모두 일임하자고 주장하고 있지만, 경북도와 의성군은 기준에 대해선 외부 전문기관에 맡겨야 한다는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다만 정의관 대구시 공항추진본부장은 "이날 회의에서 애초 15일로 예정됐던 4개 지자체장 간담회를 19일 오후 3시 대구시청에서 열기로 합의했다"며 "19일 간담회 테이블에 4개 지자체의 합의된 전문가위원회 구성 방안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실무위를 지속적으로 열겠다"고 했다. 15일 간담회는 김관용 경북도지사가 이날 국외 출장이 잡혀 부득이하게 일정 연기를 요청했다고 경북도 관계자는 전했다.

이를 지켜보는 지역민들의 반응은 싸늘하다. 수십 년 된 지역 최대 숙원사업을 스스로 풀 수 있는 결정적 열쇠를 넘겨받았음에도 4개 지자체는 지역이기주의에만 함몰돼 한 달이 지나도록 아무런 성과도 내지 못하고 있는 탓이다.

한 공항 전문가는 "대구경북의 미래와 제대로 된 하늘길을 지역 스스로 열 수 있는 절호의 기회가 찾아왔는데, 해당 지자체 모두 이해관계만 앞세워 자기주장만 펴고 있다"며 "지역의 최대 현안도 스스로 풀지 못하는데 허구한 날 '대구경북 한뿌리 상생'만 외치면 뭐하나"라고 꼬집었다.

실제 4개 지자체의 만남은 계속되고 있지만 입장은 전혀 변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익명을 요구한 한 교수는 "협상이라는 것은 서로 양보하면서 접점을 맞춰가는 행위인데, 자기주장을 조금도 굽히지 않는 상황에서는 이런 만남 자체가 시간낭비일 수밖에 없다"며 "또한 결정 권한이 없는 실무진에게만 맡겨서는 절대 합의안 도출은 없다. 단체장들이 문제 해결에 대한 강한 의지를 갖고 전면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