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와 경북도의 인구가 1년 새 크게 줄어들면서 사회경제적으로 위험신호가 감지되고 있다. 지난 한 해 동안 대구 9천326명, 경북 8천692명이 줄어 사상 최대 감소치를 기록하면서 급박한 상황을 맞게 됐다. 취업난과 학업 등으로 인한 젊은 층의 유출이 많다고는 하지만, 그 정도가 너무 급격해 걱정스럽다.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통계에 따르면 대구는 2014년 8천324명이 감소하면서 인구 250만 명 선이 무너졌고, 2015년 5천435명, 2016년 3천272명이 줄면서 완만한 감소세를 보였다. 그러다가 지난해에 사상 최대치인 1만 명 가까운 인구가 한꺼번에 빠져나갔는데, 그 가운데 절반 가까운 4천54명이 만 25~39세의 젊은 층으로 집계됐다. 마땅한 직장이 없고 지역 대학이 갈수록 부실화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방증인 만큼 우울한 소식이 아닐 수 없다.
경북은 인구 통계에서 2015년을 기점으로 내리막에 접어들었는데, 갈수록 감소세에 속도가 붙고 있다. 2015년에는 2천32명 늘었다가 2016년 2천428명 감소, 지난해 8천692명 감소를 나타냈다. 경북은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19.4%로 초고령사회(20%) 진입을 눈앞에 둔 데다 23개 시군 가운데 17개 시군의 인구가 감소해 그야말로 암울하다.
경북도청이 2년 전 안동'예천 신도시로 이전하고, 신도시 입주가 조금씩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인구가 이 정도로 줄었다니 뭔가 크게 잘못됐음이 분명하다. 도청 이전 효과가 전혀 나타나지 않고 있다는 증거인 만큼 경북도는 특단의 대책을 세우지 않으면 안 된다.
지역 인구의 급격한 감소는 사회경제적 토대의 붕괴를 의미한다. 이런 추세로 가다간 얼마 지나지 않아 젊은 사람은 찾아볼 수 없고 노인만 득실거리는 사회가 될지 모른다. 현재 통계 수치는 대구경북에 위험신호를 계속 보내고 있다. 대구는 젊은 층의 유출, 경북은 노령화 등에 초점을 맞춰 정책 및 사업 개발에 적극 나서야 한다. 지난해 말 대구시가 위기감을 느끼고 미래전략담당관실 산하에 인구정책팀을 신설한 것은 바람직한 정책이다. 대구경북은 인구 유출을 막을 방안 마련에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철우 "안보·입법·행정 모두 경험한 유일 후보…감동 서사로 기적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