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대비 13%↑ 867조원…송파구, 강남 이어 두번째 100조원 돌파
지난해 정부의 강력한 부동산 규제에도 불구하고 서울 아파트 시가총액이 100조원 가까이 불어나 860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의 전체 아파트 시가총액도 새 아파트 입주 등의 영향으로 2천300조원을 돌파했다.
11일 부동산114 집계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서울 아파트 시가총액은 약 867조602억원으로 2016년(767조2천597억원) 대비 99조8천5억원(13.0%) 증가했다.
역대급 규제로 평가된 새 정부의 8·2부동산 대책 등 강도높은 규제에도 강남권 재건축은 물론 서울 도심 등 요지의 일반 아파트값까지 일제히 강세를 보인 영향이다.
강남구의 아파트 시가총액이 2016년(123조1천406억원) 대비 13% 늘어난 139조5천937억원으로 서울에서 가장 높았다. 압구정 현대·개포 주공 등 재건축 추진 단지 등이 상승세를 주도했다. 압구정 현대 아파트 전용면적 84㎡형의 경우 지난해 실거래가가 20억원을 넘어섰다.
역시 잠실 주공5단지 등 대규모 재건축 단지들이 강세를 보인 송파구는 강남구에 이어 두번째로 시가총액 100조원대 시대를 열었다. 작년 말 기준 시가총액이 102조4천99억원으로 2016년(84조617억원) 대비 21.8% 늘었다.
서초구의 시가총액은 2016년 대비 12.2% 증가한 98조3천836억원으로 100조원에 근접했다.
강남권 4개 구의 재건축 아파트 시가총액은 총 139조5천90억원으로 2016년 대비 10.3% 증가했다.
시가총액의 상승폭은 도심권 아파트가 더 컸다. 종로구의 경우 2006년 4조7천756억원이던 시가총액이 지난해 7조902억원으로 48.5%나 늘었다.
지난해 2월 2천533가구에 이르는 교남동 '경희궁 자이' 입주 영향으로 시가총액이 급증했다. 이 아파트 전용면적 85㎡는 현재 시세가 13억원에 달하는 등 도심권의 고가 아파트로 부상했다.
중구의 아파트 시가총액(8조6천553억원)은 2016년 대비 20.1% 늘었고, 성수전략정비구역 등 개발 호재가 있는 성동구(36조7천126억원)도 아파트값 상승에 힘입어 시가총액이 19.3% 증가했다.
전국의 시가총액은 전년 대비 9.2% 증가한 2천365조6천587억원을 기록했다.
대구시의 시가총액이 123조6천872억원으로 전년 대비 7.0% 증가했고 부산은 173조5천678억원으로 5.5% 늘었다.
또 경기도의 시가총액은 660조9천237억원으로 1년 만에 7.6% 증가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