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혹한', 봄날은 멀다…대구 경기전망지수 전국 꼴찌

입력 2018-01-11 00:05:00

최저임금·금리 인상 등 악재…인건비 부담 커져 구조조정

새해 대구 제조업계 체감 경기가 잔뜩 얼어붙었다. 대구 제조업체는 경기 침체로 인한 생산 물량 감소에 최저임금 인상, 원료비 상승 등 악재가 겹치고, 금리 인상,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개정 협상 등 대외 악재까지 더하면서 근로자 감원이나 임금 조정 등 자구책 마련에 골몰하고 있다.

대구 제3산업단지의 A업체는 올 들어 전체 80여 명 직원 중 20%를 줄였다. 휴대폰 배터리 등 전지와 자동차, LCD 등 전기'전자 산업 분야 장비를 생산하는 이 업체의 연간 매출 규모는 100억원대. 대기업 협력업체로 나름 탄탄하지만, 올해 최저임금 인상을 앞두고 인건비 상승이 예상되자 부득이 감원을 결정했다.

대구 제3산업단지 관리공단 관계자는 "자동차 연관 부품 업체 비중이 75%인 3산단 내 업체마다 전체 직원의 10~30%를 줄이는 감원 바람이 불고 있다"며 "대부분이 3~5차 협력업체로 규모가 작아서 원청업체의 물량 감소로 직격탄을 맞은 데 다 최저임금 상승으로 인건비 부담이 커졌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다른 산업단지 업체도 비슷한 사정이다. 하위 협력업체로 갈수록 생산 물량 감소 폭이 크다. 1차 협력업체에서 생산을 10% 줄이면 3~5차 협력업체는 30~50%까지 물량이 줄어드는 타격을 받고 있다. 최저임금 장려금(13만원)으로는 실제 30만~40만원씩 상승하는 인건비를 감당하기 어렵다고 아우성이다. 생산현장에선 3교대 근무를 2교대로 바꾸거나, 야간과 주말 잔업을 줄이는 등 근무시간 조정에 나섰다. 이 때문에 급여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잔업수당이 줄어서 생산직 종사자의 소득이 더 낮아질 것이라는 우려까지 나온다.

올해 대구의 제조업 전망은 어둡다. 대한상공회의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대구의 '제조업 경기전망지수(BSI)'는 73으로, 전국 광역시도 16곳 중 울산과 함께 꼴찌를 기록했다. 전국 평균 BSI 86보다도 상당히 낮은 수준이다. BSI는 기준치인 100 이하면 부정적으로 평가된다. 대전(92)과 서울(90), 부산(89), 인천(81), 광주(79) 등 다른 특별'광역시와 비교하면, 대구의 상황이 얼마나 심각한지 드러난다.

임규채 대구경북연구원 경제동향분석팀장은 "지난해부터 회복되던 수출이 올해 환율 변화로 인해 제동이 걸릴 경우 지역의 기계'산업 업체의 채산성이 낮아질 수 있다"며 "한미 FTA 개정 협상에서 자동차부품이 쟁점이 될 수 있고, 또 최저임금 상승으로 영세한 제조업의 자금 사정이 어려워지는 등 여러 악재가 지역경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