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저임금·금리 인상 등 악재…인건비 부담 커져 구조조정
새해 대구 제조업계 체감 경기가 잔뜩 얼어붙었다. 대구 제조업체는 경기 침체로 인한 생산 물량 감소에 최저임금 인상, 원료비 상승 등 악재가 겹치고, 금리 인상,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개정 협상 등 대외 악재까지 더하면서 근로자 감원이나 임금 조정 등 자구책 마련에 골몰하고 있다.
대구 제3산업단지의 A업체는 올 들어 전체 80여 명 직원 중 20%를 줄였다. 휴대폰 배터리 등 전지와 자동차, LCD 등 전기'전자 산업 분야 장비를 생산하는 이 업체의 연간 매출 규모는 100억원대. 대기업 협력업체로 나름 탄탄하지만, 올해 최저임금 인상을 앞두고 인건비 상승이 예상되자 부득이 감원을 결정했다.
대구 제3산업단지 관리공단 관계자는 "자동차 연관 부품 업체 비중이 75%인 3산단 내 업체마다 전체 직원의 10~30%를 줄이는 감원 바람이 불고 있다"며 "대부분이 3~5차 협력업체로 규모가 작아서 원청업체의 물량 감소로 직격탄을 맞은 데 다 최저임금 상승으로 인건비 부담이 커졌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다른 산업단지 업체도 비슷한 사정이다. 하위 협력업체로 갈수록 생산 물량 감소 폭이 크다. 1차 협력업체에서 생산을 10% 줄이면 3~5차 협력업체는 30~50%까지 물량이 줄어드는 타격을 받고 있다. 최저임금 장려금(13만원)으로는 실제 30만~40만원씩 상승하는 인건비를 감당하기 어렵다고 아우성이다. 생산현장에선 3교대 근무를 2교대로 바꾸거나, 야간과 주말 잔업을 줄이는 등 근무시간 조정에 나섰다. 이 때문에 급여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잔업수당이 줄어서 생산직 종사자의 소득이 더 낮아질 것이라는 우려까지 나온다.
올해 대구의 제조업 전망은 어둡다. 대한상공회의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대구의 '제조업 경기전망지수(BSI)'는 73으로, 전국 광역시도 16곳 중 울산과 함께 꼴찌를 기록했다. 전국 평균 BSI 86보다도 상당히 낮은 수준이다. BSI는 기준치인 100 이하면 부정적으로 평가된다. 대전(92)과 서울(90), 부산(89), 인천(81), 광주(79) 등 다른 특별'광역시와 비교하면, 대구의 상황이 얼마나 심각한지 드러난다.
임규채 대구경북연구원 경제동향분석팀장은 "지난해부터 회복되던 수출이 올해 환율 변화로 인해 제동이 걸릴 경우 지역의 기계'산업 업체의 채산성이 낮아질 수 있다"며 "한미 FTA 개정 협상에서 자동차부품이 쟁점이 될 수 있고, 또 최저임금 상승으로 영세한 제조업의 자금 사정이 어려워지는 등 여러 악재가 지역경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