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리그 심판 年 수입 4천만원…지난해 심판 총 수당 약 15억

입력 2018-01-10 00:05:00

도전 유망주도 늘어나는 중…자격증 따도 등급 유지 힘 써야

'선수들과 함께 90분간 죽도록 뛰어다니는 축구 심판은 수당을 얼마나 받을까.'

한국프로축구연맹이 2017년 한 해 동안 K리그에서 활동한 심판들에게 지급된 수당 총액을 발표했다. 주심들에게 지급된 수당은 총 8억4천500만원, 부심들에게는 총 6억9천500만원이 지급됐다.

축구연맹에 따르면 K리그 클래식(1부리그)의 주심 1인당 연간 평균 배정 경기 수는 27.7경기(대기심 배정 경기 포함), 평균 수령액은 약 4천300만원이었다. 부심 1인당 연간 평균 배정 경기 수는 36.2경기, 평균 수령액은 약 4천만원인 것으로 파악됐다. 가장 많은 수당을 받은 심판은 주심이 6천100만원, 부심이 4천400만원이었다.

최근 K리그 심판에 도전하는 심판 유망주들도 늘어나는 추세다. K리그 심판이 되기 위해서는 KFA 1급 심판 자격증 취득, 내셔널리그 및 K3 리그 등에서의 경험을 통해 자격을 인정받아야 한다. 또한 다양한 강습회와 훈련을 통해 지식과 경험을 쌓아야 K리그 심판이 될 수 있다.

K리그 심판이 됐다고 이 자리를 계속 유지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K리그 심판들은 심판 자격 등급을 유지하기 위해 매년 강도 높은 체력테스트와 평가시험, 고과 기준을 통과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매 시즌 종료 후에는 연간 평가 결과를 종합해 K리그 클래식(1부), 챌린지(2부)와 내셔널리그(실업) 간 심판의 승강도 이루어진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