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텍, 진행 간암 표적치료제 개발에 성공

입력 2018-01-02 19:33:51

생명과학과 간암 조절인자 찾아

이윤태'김상욱 교수'김은정 씨

우리나라 암 사망률 가운데 두 번째로 높은 간암을 치료할 획기적인 기술이 개발돼 의료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포스텍 생명과학과 이윤태'김상욱 교수, 통합과정 김은정 씨는 간암의 진행에 관여하는 'CIC'(Capicua) 조절인자가 발현하는 양에 따라 환자 생존율이 달라지는 것을 발견, 새로운 간암 표적치료제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관련 내용은 간 분야 권위지인 '헤파톨로지'를 통해 발표됐다.

간암 치료는 암 부위를 직접 떼어내는 수술, 암세포에 영양분 공급을 통해 혈관을 차단하는 색전술 등이 있었지만, 진행성 간암은 항암 치료만 가능해 환자 생존율을 높이는 데 어려움이 컸다.

연구팀은 CIC 유전자 발현이 낮게 나타났을 때 1.5~2배가량 세포 증식과 침입 능력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고, 새로운 조절 기작 CIC를 찾아냈다. CIC가 줄어들수록 간암 진행이 빨라진다는 것에 착안한 셈이다. CIC 타깃 유전자로 알려진 'PEA3' 그룹 유전자를 통해 간암 치료에 새로운 길을 열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연구팀은 평가했다.

이윤태 교수는 "진행성 간암의 새로운 조절 메커니즘을 밝혀냈다"며 "CIC가 간암의 새로운 지표인자로 사용될 가능성을 밝힘으로써 간암에 대한 표적치료제 개발을 앞당겼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