캘리포니아 새해부터 대마초 판매…미 최대 주 마리화나 합법화

입력 2018-01-02 16:34:51

새해 1월 1일부터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기호용 마리화나(대마초) 판매가 허용됐다.

미국 내 50개 주 가운데 콜로라도, 워싱턴, 오리건, 알래스카, 네바다에 이어 6번째이며, 워싱턴 D.C를 포함하면 7번째다. 미국 내 의료용 마리화나가 합법화한 주는 이보다 훨씬 많은 29개 주다.

매사추세츠는 오는 7월 1일부터 소매 판매가 허용된다. 2012년 콜로라도와 워싱턴주에서 가장 먼저 합법화했다.

이로써 미국 최대 인구 주인 캘리포니아가 '마리화나 합법 공간'이 된 것이다.

캘리포니아에는 한인도 가장 많이 거주한다.

미국 언론은 1일(현지시간) 캘리포니아의 마리화나 판매가 다른 주와 달리 주민생활과 지역 경제, 범죄율 등에 어마어마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내다봤다.

캘리포니아는 작년 7월부터 마리화나를 합법 취급한 네바다주의 뒤를 이었다.

샌프란시스코 인근 도시 오클랜드의 마리화나 취급 업소 하버사이드 디스펜서리에는 밤새 줄을 서서 기다리다가 새벽 6시 매장문을 열자마자 마리화나를 사 간 고객들이 다수 눈에 띄었다고 미 언론은 전했다.

미 경제매체 비즈니스 인사이더는 캘리포니아주의 기호용 마리화나 산업이 2018년 한 해 37억달러(약 3조9천500억원)의 수입을 창출할 것으로 예상했다.

주 정부의 세수 증가액만 10억달러(1조600억원)를 넘을 것으로 보인다.

캘리포니아 대마단속국의 캣 파커 국장은 KABC 뉴스에 "LA가 세계 최대 대마초 시장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반면 마리화나 연기와 냄새, 치안불안 등으로 인한 주민 민원과 불만이 고조할 전망이다.

당국은 마리화나 판매점 주변을 단속해 쓰레기와 연기, 냄새가 무분별하게 방치되거나 통제되지 않을 경우, 주변에서 어정거리며 인근 주민들을 불안하게 하는 구매 객이 많을 경우 해당 업소에 벌과금을 부과하거나 면허를 취소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마리화나 거래가 합법화했지만 공개된 장소에서의 흡연은 여전히 금지된다. 차량 내 흡연도 차량국(DMV)의 금지약물 규정에 따라 여전히 단속 대상이 된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