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국제사회 우려에 '예루살렘 인정' 미뤄…"수일 내 발표"

입력 2017-12-05 17:02:25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쏟아지는 국제사회의 우려에 예루살렘을 이스라엘 수도로 공식 인정하는 결정을 며칠 미뤘다.

호건 기들리 백악관 부대변인은 4일(현지시간) 에이포스원 기내에서 기자들과 만나 현재 텔아비브에 있는 주이스라엘 미국대사관의 예루살렘 이전 여부와 관련, "오늘은 아무런 조치가 없다"면서 "며칠 안에 결정이 내려질 것"이라고 말했다고 AP'AFP통신이 보도했다.

기들리 부대변인은 "대통령은 처음부터 이 현안에 대해 분명한 입장이었다. 할지 안 할지의 문제가 아니라 언제 하느냐의 문제"라고 덧붙였다.

이날은 트럼프 대통령이 1995년 제정된 '예루살렘 대사관법'에 따라 대사관을 예루살렘으로 옮길지 아니면 이전을 연기할지를 정해야 하는 데드라인이다. 이 법은 미국 대통령이 국익과 외교적 이해관계를 고려해 대사관 이전을 6개월간 보류할 수 있다는 유예조항을 뒀다.

역대 대통령들이 6개월마다 대사관 이전을 보류하는 문서에 서명해왔으며, 대사관 이전을 대선 공약으로 내걸었던 트럼프 대통령조차 지난 6월 한 차례 연기 결정을 했다.

그러나 6개월의 유예기간이 다시 끝나가면서 이번에는 트럼프 대통령이 대사관을 이전하고 예루살렘을 이스라엘의 수도로 공인할 것이라는 관측이 기정사실화하는 분위기이다.

AFP에 따르면 미국 정계 일각에서는 이런 조치가 보수층 유권자와 고액 후원자들에게 구애할 수 있는 방안이라며 트럼프 대통령을 압박하고 있다.

그럼에도 트럼프 대통령이 막판 신중한 태도를 보이는 것은 국제사회의 반발이 그만큼 강력하기 때문이다.

당사자인 팔레스타인은 물론 중동에서 미국의 전통적인 우방인 사우디아라비아와 요르단마저 반대 의사를 공개 표명한 상태다.

주미 사우디 대사인 칼리드 빈살만 왕자는 성명을 내 "예루살렘의 지위에 대한 미국의 어떠한 발표도 그 지역의 긴장을 높이고 평화 프로세스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했고, 아이만 사파디 요르단 외교장관도 렉스 틸러슨 미 국무장관과 통화해 "중대한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염려했다. 이집트 외교장관도 틸러슨 장관에게 전화를 걸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