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경제는 취약계층에 사회서비스와 일자리를 제공하여 주민 삶의 질을 높이는 사회적 목적을 추구하면서 각종 재화 및 서비스를 생산 판매하는 경제활동으로 일반 시장경제 기업과는 달리 이윤을 추구하면서도 양극화 해소, 일자리 창출 등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일종의 경제커뮤니티이다.
이제 지역 주민과 마을 주민이 주인이 되는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마을기업 등을 보다 많이 육성하고, 이러한 사회적 경제 영역에 많은 행정적, 제도적, 재정적 지원을 해줘야 할 때이다. 중앙정부의 활성화 정책도 필요하지만 비단 국가의 몫만은 아니다. 지방자치단체에서도 타 지역 사업과 연계하고 관심을 기울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대구시의 경우 2017년 9월 말 기준으로 예비 사회적기업을 포함한 사회적기업 112곳, 협동조합 531곳, 마을기업 81곳 등 총 724개소의 사회적 경제 기업에서 7천200여 명의 종사자가 일하고 있으며 매년 그 수가 늘어나고 있지만 안정적으로 운영되는 기업으로 성장하기까지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생태계를 잘 조성하고 육성해서 우리 사회에 튼튼히 뿌리내리도록 함으로써 지역 공동체와 연계하여 더 따뜻하고 서로 돕고 더불어 함께 잘사는 대구를 만들 수 있기를 바란다.
권영진 시장 취임 이후 민(民)을 중심으로 한 사회적 경제 생태계 구축과 관(官) 중심의 지원체계가 순조로운 조화를 이루면서 대구 사회적 경제가 전국의 주목을 받고 있으며, 한국의 사회적 경제를 이끄는 중심도시로 우뚝 서고 있다.
그 주요 성과를 보면 서울, 강원에 이어 전국에서 세 번째로 사회적 경제 전담부서를 신설하고 '함께 잘사는 도시, 사회적 경제 도시 대구'라는 슬로건 아래 '사회적 경제육성 및 지원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였으며, '사회적 경제 종합발전계획'을 수립하고 '사회적경제지원센터'를 설치'개소(전국최초 시민공익'청년센터 통합입주)하는 등 다양한 행정'재정적 지원을 토대로 특화된 사회적 경제 활성화 시책을 적극 추진해 왔다. 그 결과 730여 개의 사회적 경제 기업에서 총 7천200여 개에 이르는 일자리 창출과 600여억원의 매출을 올리는 성과를 거뒀다.
사회적 경제 대학원 등의 전문가 교육으로 지역인재 700여 명을 양성하고, 언론 등 각종 매체를 통한 홍보 활동 및 박람회, 주간행사 등을 개최하여 시민 홍보 및 가치 확산에 주력하였으며, 착한 결혼식, 쪽방촌 지원, 김장 나눔, 서문시장과 함께하는 장터, 초등학교 교과서 수록 등 시민들에 가까이 다가가는 적극적인 사회적 경제를 실천하였다.
특히, 사회적기업의 성과는 매우 고무적이라 할 수 있다. 2007년부터 현재까지 인증 사회적기업은 73개이며 이 중 87.7%인 64개 기업이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다. 이는 일반 창업기업 생존율(통계청 5년 생존율 27.3%)보다 월등히 높은 수치이다. 또, 사회적기업 제품 우선 구매율 및 착한 소비 확대에 따라 2016년 공공구매액이 101억원으로 2014년 말 38억원 대비 3배 가까이 늘어나는 등 가시적인 성과를 거뒀다.
우리 시 사례에서 나타나듯이 공동체 활성화를 통한 사회적 경제는 궁극적으로 일자리 창출과 시민통합을 가능케 해 줄 수 있다. 인내심을 갖고 진득하게 마중물을 부어준다면 사회적 경제가 요원의 불길처럼 번질 것으로 믿는다.
앞으로도 대구시는 36.5℃ 사람의 체온을 닮은 더불어 함께 사는 따뜻한 지역사회를 만들기 위해 사회적 경제의 다양한 주체들이 잘 말리고 잘게 쪼개진 불쏘시개가 되어 사회적 경제가 우리 삶 속에서 활활 타오를 수 있도록 아낌없이 지원하여 지속가능한 사회적 경제 활성화에 주력할 계획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