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수학능력시험 출제본부는 23일 치러진 2018학년도 수능 1교시 국어영역의 경우 과목별 교과서에서 배운 지식을 다양한 담화나 글에 적용할 수 있는 사고력을 측정하려 했다고 설명했다.
폭넓고 다양한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지문의 소재를 특정 분야로 제한하지 않고 경제·철학 등 다양한 소재의 지문과 자료를 활용했다고 덧붙였다.
다음은 출제본부가 밝힌 국어영역의 문항 유형이다.
◇ 화법
화법의 개념·원리·과정에 대한 이해와 화법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수라상'에 관한 학생 발표를 소재로 한 문항, 현대소설 '허생의 처'에 대한 독서 토의를 소재로 한 문항 등 5문항이 출제됐다.
◇ 작문
'독서 토의를 바탕으로 한 자기 성찰적 글쓰기'를 소재로 한 문항, '봉사의 날 운영 방식 변경을 주장하는 글쓰기'를 소재로 한 문항 등 5개 문항이 나왔다.
◇ 문법
국어의 구조·변천, 국어 생활에 관한 이해를 평가 목표로 했다. 국어 단어의 역사적 형성 과정을 설명한 지문을 바탕으로 출제한 문항, 음운 변동 현상의 분석을 소재로 한 문항, '사전의 개정 내용'을 소재로 한 문항 등 5개가 출제됐다.
◇ 독서
총 15개 문항을 출제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목적론을 소재로 한 철학 지문, 환율의 오버슈팅(시장가격의 일시적인 폭등 혹은 폭락) 현상과 관련한 경제학적·행정학적 설명을 융합한 지문, 디지털 통신 시스템의 부호화 과정을 소재로 한 기술 지문 등 다양한 제재를 활용했다.
◇ 문학
모두 15개 문항을 출제했다. 이육사의 '강 건너간 노래', 김광규의 '묘비명' 등을 소재로 한 현대 시 지문, 김만중의 '사씨남정기'를 소재로 한 고전소설 지문, 이정환의 연시조 '비가'(悲歌)와 이병기의 현대수필 '풍란'을 소재로 한 고전 시가·현대수필 복합 지문, 이문구의 '관촌수필'을 소재로 한 현대소설 지문 등 현대와 고전의 다양한 작품을 활용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경선 일정 완주한 이철우 경북도지사, '국가 지도자급' 존재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