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관계 해빙 모드에 지역 뷰티업체 '방긋'

입력 2017-11-22 00:05:01

중국의 사드 보복으로 경색된 한'중 관계가 화해 분위기로 접어드는 가운데 지역 뷰티업체들이 아시아 최대 미용박람회에서 현지 바이어들로부터 호평을 받았다.

21일 대구테크노파크(대구TP) 한방산업지원센터에 따르면 이달 15~17일 홍콩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17 홍콩 코스모프로프 아시아'에 지역기업들이 참가해 총 98건의 상담을 통해 130여만달러(약 14억원) 규모의 수출상담 실적을 올렸다. 이번 박람회에는 ㈜라라리즈, ㈜에쓰엘씨, ㈜에이팜, ㈜허브어스, ㈜팜바이오스, ㈜유바이오메드 등 뷰티 관련 6개사가 참가했다. 특히 올해는 한국이 미용전의 주빈국으로 선정되면서 다양한 부대행사를 주최하는 등 K-뷰티의 최신 트렌드를 선보이며 큰 주목을 받았다.

한'중 사드 갈등의 해빙 분위기는 박람회장 곳곳에서 감지됐다. 대구TP 관계자는 "지난 3월 중국에서 열린 광저우 국제미용전시회에서는 한국관을 찾는 것을 다소 꺼리는 듯했지만, 이번 박람회에선 일반 참관객과 바이어들이 긴 줄을 설 정도로 한국산 제품에 대한 관심을 나타냈다"고 전했다.

지역 기업들도 맹활약을 펼쳤다. 네일 전문기업인 라라리즈는 홍콩 전역에서 미용실 겸 네일숍을 운영하는 피에스그룹과 10만달러 규모의 네일 컬러 및 브러시 제품을 공급하기로 하는 계약을 현장에서 체결했다. 모델링 마스크팩을 전문으로 생산하는 에스엘씨는 인도네시아 및 덴마크의 바이어와 시트 마스크 등의 자사 브랜드 제품을, 스페인 기업과는 ODM(제조자개발생산) 계약을 각각 체결했다. 계약규모는 총 4만달러에 달한다. 피부미백 및 보습 화장품을 생산하는 에이팜은 홍콩의 대형 소비재 유통업체인 굿 라이프(Good-Life)와 상호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 홍콩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를 마련했다.

대구TP 박진석 한방산업지원센터장은 "사드 사태 후 홍콩 시장은 중국으로 가는 우회 창구로 큰 주목을 받았던 곳이다. 한'중 관계의 해빙 무드 속에 치러진 이번 전시회를 발판으로 다시 한 번 중국시장 진출을 위한 다양한 전략들을 마련할 것이다"고 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