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산행 안전하게 즐기려면
전국을 알록달록하게 물들이는 단풍이 절정에 달하면서 산행객도 늘고 있다. 하지만, 아무런 준비 없이 섣불리 산에 올랐다간 사고로 이어지기 쉽다. 즐거운 가을산행을 위한 안전수칙에 대해 알아보자.
◆스트레칭은 필수, 배낭은 최대한 가볍게
산을 오르기 전에는 스트레칭 등 준비운동을 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 갑자기 산을 오르면 몸에 압력이 가해져 다치기 쉬우므로 스트레칭으로 체온을 살짝 높이고 관절과 근육의 긴장을 풀어줘야 한다. 배낭이 무거우면 산을 오르내릴 때 더 많은 체력이 소모된다. 특히 하산할 때는 이미 체력이 많이 소모되어 신체 부위에 충격이 쉽게 가해지기 때문에 최대한 배낭을 가볍게 해 무릎 등에 하중이 덜 가해지도록 해야 한다. 등산화는 발에 잘 맞고 방수능력이 좋은 것을 신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한다.
◆하산 시간은 짧게, 규칙적 휴식
가을철에는 일몰 시각이 빠른 점을 고려해야 한다. 서둘러 내려오다 사고를 당할 수 있으므로 산행 전에 하산 시간을 여유롭게 안배하는 것이 좋다. 등산이 익숙지 않다면 전체 산행 시간을 2, 3시간이 넘지 않도록 짜고, 바위나 계단이 많은 등산로보다는 흙길을 걷는 것이 좋다. 산을 오를 땐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면서 등산화 바닥 전체로 지면을 밟고 디딜 곳을 잘 살피면서 걷는다. 산행 중에는 음식을 한꺼번에 너무 많이 먹지 말고 조금씩 자주 섭취하도록 한다. 산행 초반에는 15~20분 정도 걷고 나서 휴식하고, 차츰 30분~1시간 산행 후 10분간 쉬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에서 내려올 때는 보폭을 좁게 하고 산을 오를 때보다 천천히 내려와야 한다.
◆가을철 열성 질환 피하려면 긴옷 착용해야
가을 산행을 많이 하는 9~11월은 '3대 열성 질환'인 유행성출혈열, 쓰쓰가무시병, 렙토스피라증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시기이다. 세 질병 모두 들쥐 등 야외활동 중 감염될 위험이 크기 때문에 가능한 한 긴 소매와 긴 바지를 착용해 피해를 보지 않도록 해야 한다. 산행 중 벌이나 뱀 등이 나타나면 절대 먼저 공격하지 말아야 하며 벌레에 물렸을 땐 즉시 소독하고 연고를 바르도록 한다. 또 향이 강한 화장품이나 향수는 벌떼가 꼬일 수 있으니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등산로 위치표지판으로 사고 대비
산행 중 길을 잃었을 때는 계곡을 피하고 능선을 따라서 올라가야 길을 쉽게 찾을 수 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등산로를 벗어나지 말아야 하고 그렇지 않으면 왔던 길을 되돌아가야 한다. 산행 중 안전사고가 발생했을 때는 무리하게 하산하지 말고 119에 구조를 요청한다. 등산로에 설치된 '119 구조 위치표지판 번호'를 숙지해 놓으면 자신의 위치를 정확하게 알릴 수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