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쌀 생산량이 지속적인 재배면적 감소, 정부 적정생산유도 정책의 영향으로 1980년 이후 37년 만에 가장 적은 수준으로 줄었다.
통계청은 2017년 쌀 생산량 조사 결과 올해 쌀 생산량이 397만2천톤(t)으로 작년(419만7천t) 대비 5.3% 감소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는 전국적 냉해 피해를 보았던 1980년 355만t 이후 가장 적은 수준이다. 쌀 생산량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까지 2년 연속 감소했다.
총 생산량을 현백률(현미를 쌀로 환산하는 비율) 12분도(90.4%)를 적용하면 386만6천t이다.
쌀 재배면적은 지난해 77만8천734헥타르(㏊)에서 올해 75만4천713ha로 3.1% 준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 관계자는 "재배면적 감소에 정부의 쌀 적정생산유도 정책에 의한 타 작물 전환 등으로 쌀 생산량이 줄었다"고 설명했다.
10a당 생산량은 지난해 539kg에서 올해 527kg으로 2.2% 감소했다.
현백률(현미를 쌀로 환산하는 비율) 12분도로 계산할 경우 512kg이다.
모내기 시기의 가뭄과 낟알이 형성되는 시기의 잦은 강수, 일조시간 감소 등이 영향을 미쳤다는 설명이다.
올해 쌀 생산량을 도별(현백률 9분도 기준)로 보면 전남이 82만7천t으로 가장 많았고, 충남(72만1천t), 전북(65만5천t) 등의 순이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