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C건설이 울산 내 가장 신규 공급이 적은 동구에 공급하는 '전하KCC스위첸' 등이 희소성을 품은 아파트로 인기를 얻고 있다.
특히 KCC건설의'전하KCC스위첸' 등이 들어서는 울산 동구 등 지방의 경우 수도권보다 인구수의 차이가 크고 각종 인프라도 일부 지역에 밀집돼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공급 불균형이 지속되자이에 따라 각 건설사는 확실한 대기수요를 확보 가능한 '공급 가뭄지역'에 신규 분양을 나설 예정이다.
■울산-동구
먼저'전하KCC스위첸'이 들어서는울산은 6만5,288가구 중 7,511가구가 동구에 분양됐다. 이는 총 전체 비율의 12%로 주 주거지역인 남구에 2만3,095가구, 울주군에 1만2,513가구가 공급된 것을 고려했을 때 절반에 가까운 차이다. 동구 내에서는지난해 말6년 만에'동구미소지움'이 일반분양 되었으나 총 162가구의 적은 수로 동구 내 대기수요를 충족시키기에는 부족했던 것으로 보인다.
울산 내 가장 신규 아파트가 적은 동구에는 KCC건설이 '울산 전하 KCC스위첸'을 공급한다. 이 단지가 들어서는 전하동은대기업, 대형병원 등이 인접해 풍부한 배후수요를 갖췄음에도 불구하고 6년간 신규 분양이 없었던 지역으로 새아파트에 대한 대기수요가 많은 편이다. 오픈 전부터 일대 수요자들의 관심을 모은 이 단지는 8일(수) 청약결과 평균 30.55대 1의 높은 청약 경쟁률을 기록하기도 했다.
■광주-서구
총 5만5,947가구 중 6,164가구가 공급된 광주 서구는 타 권역 대비 신규 분양 단지 부족 현상을 겪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최근 소규모로 공급되는 단지들은 부동산 경기 불황에도 불구하고 모든 세대가 계약되는 등 높은 분양률을보이고 있다.
■대구–남구
대구의 경우 전체적으로 공급되는 신규 분양 단지가 줄면서 희소성이 더욱 높아질 전망이다. 올 하반기 전국 광역시 내 가장 적은 수의 분양 물량이 예정돼 있을 뿐만 아니라, 2018년 말까지 공급 조정기가 예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중 가장 저조한 공급량을 보이는 대구 남구에는 12만 2,925가구 중 1,846가구가 공급됐다. 공급량이 2%에 불과한 남구는 10년간 총 2,000세대가 안 되는 수로 타지역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대전-중구, 부산-중구
대전 중구는 4만9,643가구 중 6%에 해당하는 2,930가구가 공급됐다. 10년간 적은 수의 소규모 단지만이 분양돼 신규 단지의 희소성이 높은 편이다. 제일 낮은 수치를 기록한 부산 중구역시 총 18만 9,123가구 중 297가구로 1%가 되지 않는 저조한 공급량을 기록하고 있다. 이러한 대전 중구와 부산 중구에는 연내 공급이 확정된 단지가 없는 상황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