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산강 오염·조사 대책, 중앙정부가 나서야"

입력 2017-11-07 19:07:07

형산강 생태복원 국제포럼

'형산강 생태복원 수은 전문가 국제포럼' 참가자들이 단체사진을 찍고 있다. 포항시 제공

'형산강 생태복원 수은 전문가 국제포럼'이 6일 포스코 국제관 국제회의장에서 국내외 수은 전문가와 시민환경단체, 관련기관, 일반시민 등 약 3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1부에서는 시민단체가 바라본 수은 오염 문제와 수은의 위해성에 대해 설명했으며 포항시는 현재까지 추진 현황과 생태복원 대책을 제시했다. 2부 국제전문가 포럼에서는 미국 대니 레이블 교수가 '하천 수은 오염 퇴적물 관리 방안'을 주제로 준설보다는 원위치 안정화 처리가 더 경제적이고 과학'합리적이라고 주장했다.

일본 아키토 마츠야마 박사는 "형산강 수은 오염과 미나마타와는 오염 정도와 발생 시점, 발생 원인이 많은 차이가 있으며, 오염 토양에 대해 안정화 공법을 적용한다면 앞으로 구무천 토양 정화 비용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며 "준설 정화를 포함한 제반 사항을 함께 검토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 사업장에서 배출되는 중금속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법적, 제도적 방안 마련과 수은 함유 폐기물의 종류, 관리 방안, 발생량, 적정 관리 방안 등을 제시했다.

3부에서는 1, 2부 발제 내용을 토대로 종합토론이 열렸다. 김영 고려대 교수가 좌장으로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포항시의원, 해양환경관리공단, 서울대, 대구대 전문교수가 참여해 형산강 환경 관리 전문성 제고와 생태복원을 위한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특히 김상민 포항시의회 의원은 "형산강 퇴적 오염물 관리지침 마련과 오염 원인자 조사 대책에 중앙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강력히 주장했고, 김성수 해양환경관리공단 박사는 "영일만 총수은 검사 결과 포항신항은 주의 기준에 근접하고, 나머지 부분은 주의 기준보다 현저히 낮은 수준으로 2019년 시범조사를 시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현재 포항시가 형산강 민'관 환경대책협의회를 구성하고 중금속 오염도 개황 조사와 오염 원인 파악, 공단 완충 저류시설의 설치, 분류식 하수관거 설비 등을 서두르고 있지만, 자체 대책만으로는 행'재정적 어려움이 많고 준설 정화에 비용 수백억원이 들 것으로 예상돼 국가와 지방정부가 함께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