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동네 슈퍼마켓 위협할 이마트의 '노브랜드' 독립 매장

입력 2017-11-07 00:05:00

이마트가 '노브랜드' 매장 개설을 추진하자 지역 슈퍼마켓 상인들이 크게 반발하고 있다. 그동안 숱한 비판 여론에도 유통 대기업의 골목 상권 침해 행위가 여전한 데다 수법 또한 갈수록 교묘해지면서 소상공인 생존권을 크게 위협한다는 이유에서다. 대구의 슈퍼마켓 운영자 200여 명은 5일 대구신세계를 찾아가 매장 개설 중단을 요구하며 시위를 벌였다.

발단은 이마트가 동구 신서혁신도시 상가 내 300㎡ 규모의 노브랜드 독립 매장 개설을 계획하면서다. 노브랜드는 이마트와 전국 중소 제조업체가 제품을 함께 개발하고 '노브랜드'라는 이름으로 판매하는 자체 개발(PB) 브랜드다. 노브랜드 제품은 지금까지 전국 이마트 매장이 주된 유통 경로였다. 하지만 이마트는 노브랜드 제품만 모아 판매하는 독립 소매점 전략을 세워 다음 달 중 노브랜드 대구 1호점 개설을 추진해왔다.

문제는 가격이 저렴한 노브랜드 제품이 골목 상권에 악영향을 줄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중소기업중앙회가 노브랜드 매장을 현장 조사한 결과 '지역 상권에 상당한 위협이 된다'는 평가가 나왔다. 전국 곳곳에서 개점 소식을 접한 골목 상인들이 노브랜드 반대 집회를 열고 결사적으로 막으려는 이유다. 지역 상인들은 "혁신도시 매장 하나로 끝나지 않는다. 매장 개설이 계속 이어질 것이 뻔하고, 동네 슈퍼마켓의 고사는 시간문제"라고 주장했다.

정부가 유통산업발전법 개정을 통해 대형마트 영업시간 규제와 의무휴업일 지정 등 제한을 가하는 이유는 전통시장과 슈퍼마켓 등 소상공인 보호와 상생이 목적이다. 그럼에도 법 적용에서 빠진 크고 작은 유통업체가 여전히 골목 상권을 위협하면서 소상공인은 거의 빈사 상태다. 농협 하나로마트나 다이소 등 급성장세를 보이는 대형 유통업체 사례를 봐도 골목 상권 피해의 현실을 짐작할 수 있다.

대구시는 기업형 슈퍼마켓으로 분류되는 노브랜드 매장 개설 인가에 신중해야 한다. 광주시의 경우 반대 여론이 커지자 지난 5월 노브랜드 매장 개설 계획을 백지화했다. 이마트도 출점에 앞서 상생 방안 마련 등 지역 상인을 설득하는 노력부터 해야 한다. 그런 후에 매장을 열어도 늦지 않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