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내달 12일부터 시작되는 국정감사를 '전쟁터'로 몰아가려는 통에 국회는 추석 명절의 들뜬 기분을 느낄 수 없다.
산발적인 '총질'로 대대적인 공세를 예고하면서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양쪽은 '적폐 청산'을 명분으로 선전포고를 한 상황이다.
'MB(이명박) 국가정보원' 대선 개입'여론 조작 수사에 속도가 붙는 가운데, 여당은 국정감사에서 당시의 적폐를 낱낱이 밝히겠다며 전열을 정비하고 있다.
9년여간의 야당 생활로 아직 '야성'이 남아있는 여당은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으로 새 정부가 출범한 만큼 박 정부에서 추진했던 각종 정책을 파헤쳐 전 정권의 적폐를 부각시키겠다고 벼르고 있다. 적폐 청산은 문재인 정부가 내건 100대 국정과제 중 1호다.
보수 야권에서는 이를 '정치 보복'이라고 규정하며 총공세를 퍼부을 태세다.
자유한국당은 '여권 적폐 태스크포스(TF)'를 가동해 현 정부 정책을 낱낱이 파헤치겠다며 전력을 집중시키고 있다. 또한 정부-여당의 과거 정부 적폐 청산 드라이브를 불공정 행위로 간주, "김대중-노무현 정부도 같이 털어라. 그게 공평하다"고 주장한다.
그러면서 노무현 전 대통령의 뇌물수수 의혹과 관련해 특별검사 카드까지 빼내 들었다.
정우택 원내대표는 26일 국감 대비 상임위원장'간사단 회의에서 "김대중'노무현 정부 때의 '원조 적폐', 문재인 정부 출범 후의 '신(新)적폐'를 철저히 규명해 국민 앞에 진실을 드러내도록 하겠다"고 했다.
정진석 한국당 의원은 "부부싸움 끝에 권양숙 씨가 가출하고, 노 전 대통령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는 주장으로 논란의 중심에 섰다.
중도에서는 안보와 민생 문제에 집중해야 할 시기에 이 같은 논쟁은 소모적이라는 우려가 나오나 끼어들 틈이 보이지 않는다.
오랫동안 쌓이고 쌓인 폐단을 일컫는 적폐(積弊)는 청산해야 할 과제다. 숨겨져 있던 적폐를 찾아내 단죄하고 반성의 기회로 삼는 것은 역사의 발전을 위해서도 긴요하다.
그러나 청산의 대상을 상대에 국한 짓고 그리하여 과거 정권의 모든 정책을 깡그리 적폐로 규정, 청산 대상으로 삼는다면 '내로남불'(내가 하면 로맨스, 남이 하면 불륜) 트랩에 갇히게 된다.
적폐 청산을 말하려면 긍정적 미래 설계도 함께 말해야 진정성과 방향성이 생긴다.
나쁜 것은 버리고 좋은 것은 취하는 사단취장(捨短取長)의 유연한 지혜가 필요해 보인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