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공급업체 책임 떠넘기기…단가 싼 약품 비율 조정하다가 압축기 변색·부식돼 가동 중단
대구 바이오가스 자원화시설이 지난달 상당 기간 고장으로 가동이 중단됐던 것으로 드러났다. 음식물쓰레기에서 나온 가스를 압축천연가스(CNG)로 연료화하는 이 시설이 20일 동안 고장으로 멈춰 서면서 1억원가량의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25일 대구시에 따르면 서구 상리동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설 내 바이오가스 정제설비는 지난달 12일부터 31일까지 고장으로 작동하지 않았다. 설비 가운데 압축기 부분에서 변색과 부식이 나타났기 때문이다. 이 설비는 음식물쓰레기에서 배출된 가스를 공급받아 정제'가공한 뒤 CNG로 만드는 역할을 한다. 이번 고장으로 하루 평균 바이오가스 1만3천N㎥를 공급받던 정제업체 ㅍ사는 1억원 정도 CNG 생산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시는 공급업체인 대우건설 측이 가스에 투입하는 약품의 비율을 임의적으로 조정하는 바람에 설비에 부식이 발생한 것으로 파악했다. 바이오가스에 넣는 '가성소다' 양을 줄이고 '차아염소산나트륨' 양을 늘리면서 염소 성분이 발생했고, 이 성분이 설비 고장의 원인이 됐다. 차아염소산나트륨의 1㎏당 단가(약 150원)가 가성소다의 절반 수준이어서 운영비 절감 차원에서 약품의 비율을 조정한 것이다.
대우건설은 앞서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설 시공 하자로 처리량'바이오가스 생산량이 부족한 문제를 일으킨 바 있다. 이 때문에 현재 150억원을 자부담해 다음 달 완공을 목표로 개선공사를 벌이고 있다. 이런 가운데 바이오가스 시설의 고장을 일으키는 문제가 다시 발생했다.
이처럼 환경시설에서 연이어 문제가 발생하자 부실한 운영과 허술한 관리감독이 도마 위에 올랐다. 대우건설은 시와 사전 협의 없이 약품 비율을 조정했다. 대우건설 측은 "당초 계약에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사용할 수 있도록 했고, 사용 비율은 자체적으로 결정했다"는 입장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운영비를 줄이고자 시에 사전 통보 없이 약품 비율을 임의적으로 변경한 데다 사전 테스트를 통해 부식 발생 같은 부작용을 점검하지 않았다"며 "문제가 된 약품을 쓰지 않도록 권고하는 한편 고장으로 인한 손실을 보상받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