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MB 블랙리스트 수사 압박-친이계 "정치 보복 즉각 중단"-한국당은 盧 재수사 반격
여야가 전직 대통령을 앞세워 국면 전환과 지지층 결집을 시도하면서 소모적인 정치투쟁으로 변질될 우려를 낳고 있다.
현 정권이 역사바로세우기를 명분으로 이명박'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한 단죄를 시도하자, 보수진영이 노무현 전 대통령을 문제 삼아 국면 전환을 꾀하고 있는 양상이다.
정치권에선 필요에 따라 정치투쟁의 도구로 전직 대통령을 몰아세우는 상황을 반복해선 안 된다며 한국 정치가 민생과 미래로 갈 수 있는 전기를 마련해야 한다고 주문하고 있다.
지난 5월 '적폐 청산' 구호를 내세워 정권교체에 성공한 여권은 집권 이후 전 정부 실정을 잇따라 도마에 올리며 정국주도권을 행사하고 있다.
박근혜 전 대통령의 국정 농단 사태에 실망한 여론을 등에 업고 이명박 전 대통령까지 조준하는 분위기다. 검찰은 최근 이명박 정부 시절 국가정보원의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지원배제명단) 의혹에 대한 수사 강도를 높이며 이 전 대통령을 압박하고 있다.
이에 친이계 인사들이 발끈하며 현 정부의 정치 보복을 즉각 중단할 것을 요구했다.
이명박 정부 시절 특임장관을 지낸 이재오 늘푸른한국당 대표는 최근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있는 적폐라면 청산해야 되겠지만 없는 적폐를 만들어서 청산하겠다는 것은 정치 보복을 하겠다는 말과 다르지 않다"고 반발했다.
여권의 압박이 보수정권 전반으로 확대되자, 야당도 '이에는 이'로 반격을 시도했다.
정진석 자유한국당 국회의원은 20일 SNS를 통해 노무현 전 대통령의 자살배경을 '부부싸움 결과'로 몰아세웠고, 한국당은 노 전 대통령의 뇌물수수 혐의에 대한 재수사를 주장했다.
야당이 현 정부의 '역린'을 건드리자 이번에는 여당이 펄쩍 뛰었다.
민주당은 대변인 논평을 통해 "정 의원이 페이스북에 쓴 노 전 대통령에 대한 부분은 명백한 허위사실 유포이자 사자(死者)에 대한 명예훼손에 해당된다"고 반발했다.
정치권에선 여권이 국정지지율 하락 국면을 만회하기 위해 전직 대통령을 압박해서도 안 되고, 국정 농단 사태로 지리멸렬해진 보수당이 지지층 결집을 위해 맞불을 놓는 것도 적절하지 않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