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해석 경계한 靑 "북한 비핵화 입장만 재확인"

입력 2017-09-21 00:05:01

청와대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북한 완전 파괴' 유엔 총회 발언에 대해 "미국이 북한의 도발에 대해 최대 한도로 제재와 압박을 가한다는 입장을 재확인한 것"이라고 밝혔다.

제72차 유엔총회 참석차 미국 뉴욕을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을 수행하고 있는 박수현 대변인은 19일(현지시간) "국제사회와 유엔이 당면한 평화, 안전 유지와 관련한 주요 문제에 대해 확고하고 구체적인 입장을 표명한 것으로 본다"고 평가했다.

박 대변인은 "미국 대통령으로서 이례적으로 긴 시간을 할애해 북핵 및 북한 문제에 대한 입장을 표명함으로써 미국 정부가 이 문제를 얼마나 심각하게 보고 있는지를 잘 보여준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오늘 북한 관련 연설은 한'미 양국 정상이 그간 누차 밝힌 바 있듯이 북한의 엄중한 핵 미사일 도발에 대해 최대 한도의 제재와 압박을 통해 북한으로 하여금 비핵화만이 미래를 위한 유일한 길이라는 점을 깨닫도록 해야 한다는 것을 재확인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 대변인은 "양국은 이 문제와 관련해 지금까지와 마찬가지로 긴밀한 공조와 협의를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미국에 위협이 가해질 때 최후의 선택이라는 원론적 발언으로 확대 해석을 경계한 청와대는 '한국의 핵추진 잠수함 보유에 원칙적으로 한'미가 합의했다'는 일부 언론의 보도에 대해 "사실이 아니다"고 밝혔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출입기자들에게 보낸 메시지를 통해 "지금까지 양국 간에 어떤 형태의 합의도 이뤄진 바 없다"고 했다.

문 대통령의 유엔 순방 기간 추진 중인 한'미 정상회담에서 핵추진 잠수함 보유 문제가 논의될지에 대해서도 "정상회담에서 이것을 의제로 다룰 계획이 없다"고 거듭 밝혔다. 이어 "양국이 실무 차원에서 단위를 꾸려 깊이 있는 협의를 해야 하는데, 그것이 시작되지 않았다는 의미"라면서 "실무협의도 진행하지 않았다"고 했다.

앞서 한 언론은 한'미가 한국의 핵추진 잠수함 보유에 합의했다면서 문 대통령의 뉴욕 방문이 끝나고 나면 적절한 시점에 이런 내용이 공개될 수 있을 것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