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지방선거 준비, 대구경북서 손 놓은 민주당

입력 2017-09-11 00:05:01

중앙당 '조직강화특위' 발족 대비…'사고' 분류 시·도 위원장 공석

더불어민주당이 '조직강화특별위원회'(조강특위)를 발족하고 내년 6월 지방선거 대비 조직 정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나, 대구경북 지역의 준비 작업은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다. 대구경북 시도당 모두 위원장이 공석인 사고지역으로 분류된데다 마땅한 대안도 없기 때문이다.

민주당은 13일 당무위원회를 열어 조강특위 설치'구성안을 의결, 사고당부(위원장이 공석인 시도당) 및 사고지역위(위원장이 공석인 지역위) 정비에 나서는 등 지방선거 대비 활동을 본격적으로 시작한다.

하지만 대구경북의 경우 마땅한 신임 시'도당 위원장 추천 인사나 희망자가 없어 공석이 장기화할 공산이 크다.

현역 국회의원이 두 명이나 있는 대구는 임대윤 시당위원장이 최근 자격정지 6개월 처분을 받아 위원장 공석 사태가 발생했다.

중앙당은 지난주 최고위원회의를 열어 대구 시당위원장 문제를 논의했으나 일부 최고위원이 신임 위원장 선출안을 제기하자, 다른 위원이 '5개월 뒤면 임대윤 위원장이 복귀할 수 있는데 그렇게 되면 시당위원장이 두 명이 돼 충돌 사태가 벌어질 수 있다'고 반대해 결론을 내지 못했다. 중앙당 일부 인사들은 '민주당 불모지'라는 상징성 때문에 대구시당은 우선 시당위원장 직무대행 체제로 전환하자고 주장하지만, 이마저도 마땅한 인사가 없어 시당 운영체제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다.

현역인 김부겸 국회의원은 행정안전부 장관으로 발탁돼 지역구와 지역 현안에만 신경을 쓸 수 없는 처지다. 특히 선거관리 총책임자인 김 장관이 특정 지역과 정당의 선거작업에 관여할 경우 현행법에 저촉될 수 있어 민주당원으로서 김 장관의 역할은 더 이상 기대할 수 없게 됐다.

신임 시당위원장으로 유력하게 거론되는 홍의락 국회의원도 이미 TK특별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어 시당위원장 겸직이 부담스럽다는 입장이다.

경북의 경우 오중기 전 도당위원장이 지난달 초 청와대 정책실 소속 균형발전 선임행정관에 임명되면서 도당위원장 공석이 한 달 이상 이어지고 있다. 차기 도당위원장 적임자가 마땅치 않은데다 조강특위와 오 전 위원장도 새로운 인사를 추천하거나 추천받지 못해 공석 장기화 사태는 불가피해 보인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