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6차 핵실험 도발] 4차 핵실험의 12배 위력

입력 2017-09-03 19:24:52

작년 1월 첫 수소탄 시험 성공, 1·2차 핵물질은 플루토늄 추정

북한은 지난 2006년 10월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핵실험장에서 첫 핵실험을 감행한 이후 3일까지 총 6차례의 핵실험을 통해 핵무기의 파괴력을 급격히 키워왔다.

2006년 10월 9일 풍계리 핵실험장 동쪽(1번) 갱도에서 이뤄진 북한의 1차 핵실험은 규모 3.9, 폭발 위력은 1㏏(킬로톤'TNT 폭약 1천t의 폭발력)으로 추정됐다.

이어 2009년 5월 25일 2차 핵실험부터는 모두 풍계리 북쪽(2번) 갱도 쪽에서 실험이 이뤄졌다. 2차 핵실험은 규모 4.5로, 2∼3㏏ 내지 3∼4㏏의 폭발 위력을 보인 것으로 국내외 기관들은 평가했다.

1, 2차 핵실험에 사용된 핵물질은 플루토늄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이 집권한 이후 첫 핵실험인 3차 핵실험은 2013년 2월 12일 북쪽 갱도에서 단행됐다. 3차 핵실험은 규모 4.9, 폭발 위력 6∼7㏏으로 평가됐다.

이어 북한은 2016년 1월 6일 2'3차 핵실험 장소에서 400m가량 떨어진 북쪽 갱도에서 4차 핵실험을 단행한 뒤 '주체 조선의 첫 수소탄 시험'에서 처음으로 성공했다고 주장했다.

다만 4차 핵실험의 규모는 4.8로, 폭발 위력이 3차 핵실험과 비슷하거나 다소 낮은 것으로 평가됐다. 수소탄 실험치고는 낮은 폭발력 때문에 우리 군과 정부 당국은 수소폭탄의 전 단계인 증폭핵분열탄 실험을 했을 가능성에 무게를 뒀다.

북한은 통상 3, 4년 간격으로 핵실험을 하던 패턴을 깨고, 8개월 만인 같은 해 9월 9일 북쪽 갱도에서 5차 핵실험에 나섰다. 5차 핵실험의 규모는 5.04, 위력은 10㏏으로 평가됐다.

'대륙간탄도로켓(ICBM) 장착용 수소탄 실험'으로 발표된 이번 6차 핵실험의 경우 규모가 5.7로 측정된 것으로 볼 때 에너지의 위력은 4차의 11.8배, 5차의 5∼6배에 이를 것이라고 기상청은 추정했다.

이번 핵실험은 1년 전 5차 핵실험과 마찬가지로 북한의 정권수립 69주년 기념일인 9월 9일(9'9절)을 엿새 앞두고 이뤄졌다.

1차 핵실험은 노동당 창건일(10월 10일), 3차 핵실험은 김정일 생일(광명성절'2월 16일)을 앞두고 이뤄졌으며 4차 핵실험도 김정은의 생일인 1월 8일을 염두에 둔 것 아니냐는 해석을 낳았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