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또 지리산으로 가나요, 울타리에 갇히나요"
서식지인 지리산에서 90㎞ 떨어진 경북 김천 수도산으로 두 번이나 도망친 반달가슴곰이 자칫 평생 울타리 안에 갇힌 채 지내야 할 처지에 놓였다.
30일 환경단체 등에 따르면 환경부와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최근 두 번이나 지리산을 떠나 김천 수도산에서 포획된 지리산 반달가슴곰(KM-53)을 영구 회수하거나 다시 지리산에 풀어놓는 방안을 놓고 고민 중이다.
2015년 1월 태어난 이 수컷 반달곰은 그해 10월 지리산에 방사됐으나 귀에서 발신기가 떨어져 위치 파악이 되지 않다가 지난달 15일 서식지에서 90㎞나 떨어진 수도산에서 발견됐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반달곰을 곧바로 지리산으로 데려와 대인 기피 및 자연 적응 훈련을 시킨 뒤 지난 6일 지리산에 재방사했다.
그러나 결국 반달곰은 일주일만 지리산에 머물다 이동을 시작해 경남 함양과 거창을 거쳐 다시 수도산으로 옮겨 머물다가 포획됐다.
환경부는 반달곰이 지리산에 적응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재방사할 방침이다.
그러나 재방사된 뒤 다시 수도산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커 보이면 영구회수 조치해 울타리 안에서 사육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환경단체들은 반달곰을 지리산이 아닌 수도산에 방사하는 방안을 환경부에 제시하고 나섰다. 곰이 원하는 곳에서 살게 해주자는 것이다.
곰이 두 번씩이나 이곳을 찾아갔고, 특히 지난 20일 수도산에 들어간 뒤 5일간 움직이지 않다가 다시 포획된 점으로 미뤄 이곳을 서식지로 선택한 것으로 봐야 한다는 게 환경단체 주장이다.
환경부는 그러나 수도산 방사에 난색을 표한다. 수도산에 방사할 경우 인근 주민들이 안전을 이유로 불안해할 수 있고, 이 수컷 곰이 짝없이 외롭게 지내야 한다는 것이다.
환경부 고위 관계자는 "다음 달 중순 학자들과 환경단체 관계자들이 모인 가운데 전문가 워크숍을 열어, 지리산에 방사된 개체 현황 및 관리 방안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라며 "여기서 수도산으로 이동한 반달곰의 거취가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