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정부 '여성 장관 30%' 약속 지켰다
23일 문재인 대통령이 고용노동부 장관에 더불어민주당 김영주 국회의원을 지명하면서 새 정부조직법상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을 제외한 17개 부처 장관에 대한 인선이 마무리됐다.
문 대통령은 조대엽 후보자의 낙마로 공석이 된 고용부 장관에 김 의원을 지명하면서 자신이 공약한 '여성 장관 30%' 약속을 달성하게 됐다.
현재까지 중앙행정조직의 수장 중 임명된 장관급 여성 공직자는 강경화 외교부 장관,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 김은경 환경부 장관, 정현백 여성가족부 장관, 피우진 국가보훈처장 등 5명이다.
지난 20일 국회를 통과한 정부조직법 개정안에 따라 국가보훈처장이 차관급에서 장관급으로 격상돼 기존 17자리(17부'5처'16청)였던 장관급이 19자리(18부'5처'17청, 중소벤처기업부 신설)로 늘어났다. 만약 김 후보자가 청문회를 통과하면 여성 장관(장관급)은 6명이 돼 그 비율은 32%에 이르게 된다.
문 대통령은 대선 당시 공약집 '나라를 나라답게'에 '남녀 동수 내각 구성을 위한 지속적 노력'을 적시해 여성 장관 등용 의지를 내비쳤고, 초기 내각의 여성 장관 비율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2015년 기준 29.3%) 수준인 30% 선에 맞췄다.
농구선수 출신이라는 이례적인 경력을 지닌 김 후보자는 서울신탁은행 노조 간부를 거쳐 전국금융산업노조에서 여성 최초로 상임부위원장을 지냈다. 이후 정치권에 입문해 17, 18대를 거쳐 20대에도 국회에 입성한 3선의 중진 의원이다. 국회에서 환경노동위원장을 지내는 등 노동 분야 전문가로 꼽힌다.
김 후보자는 "양극화와 일자리 창출, 장시간 노동 등의 문제를 풀려면 노'사'정이 함께 머리를 맞대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노동을 하고 싶어도 못 하는 문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노동의 대가를 제대로 받지 못하는 문제, 고용의 형태에 따라 같은 노동을 제공하고도 차별을 받고 있는 문제가 해소돼야만 경제적 불평등과 양극화를 극복할 수 있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25일 새 정부조직법이 국무회의에서 의결되는 대로 신설된 중소벤처기업부 장관과 차관급인 통상교섭본부장 인선을 발표할 것으로 전해졌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