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미군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 문제 등으로 한'중 갈등이 지속하면서 중국에서 한국계 자동차의 판매가 급감하며 벼랑 끝에 몰렸지만 일본계 차량은 반사 이익을 얻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중국승용차협회와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해 1~5월 중국 내 자동차 판매량은 중국 합자법인인 베이징 현대와 둥펑위에다 기아가 37만7천여 대로 전년 동기 대비 43% 줄었다.
지난 6월의 경우도 베이징 현대와 둥펑위에다 기아의 판매량은 5만2천 대 수준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65%나 급감했다.
베이징 현대는 지난해까지 4년 연속 100만 대 이상을 중국에서 팔았는데 1~5월 판매량은 연간 목표치의 20% 정도에 불과해 올해 판매 목표인 125만 대 달성은 불가능한 상황이다.
둥펑위에다 기아는 더욱 심각한 상황으로 올해 1~5월간 판매량은 올해 목표인 70만 대의 16% 수준밖에 안 된다.
반면 합자법인인 GAC 미쓰비시는 올해 상반기 5만4천 대를 팔아 올해 판매 목표치를 54%를 채웠으며 FAW 도요타는 34만5천 대를 판매해 올해 목표량의 51.5%를 달성했다.
시장조사업체 LMC오토모티브 상하이(上海) 지사의 쩡즈링(曾志凌) 애널리스트는 한국 자동차 산업의 혁신 부족이 중국 시장에서 실패한 요인 중 하나로 꼽으면서 "사드 때문에 중국에서 한국계 브랜드의 판매가 방해받고 있다"고 분석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예성강 방사능, 후쿠시마 '핵폐수' 초과하는 수치 검출... 허용기준치 이내 "문제 없다"
與 진성준 "집값 안 잡히면 '최후수단' 세금카드 검토"
[르포] 안동 도촌리 '李대통령 생가터'…"밭에 팻말뿐, 품격은 아직"
안철수 野 혁신위원장 "제가 메스 들겠다, 국힘 사망 직전 코마 상태"
李 대통령 "검찰개혁 반대 여론 별로 없어…자업자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