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암선열공원 국립묘지 지정' 지역 국회의원 뭉쳤다

입력 2017-07-06 00:05:01

여야 현역 25명 전원 발의…명분 충분히 법안 통과 기대

국내 최대 규모의 단일 독립유공자 집단 묘역인 대구 신암선열공원을 국립묘지로 지정하는 내용의 법안이 국회에 제출됐다. 국립묘지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제3조가 규정하는 국립묘지의 종류에 신암선열공원을 추가하는 내용이다. 대구경북 현역 국회의원 25명 모두 발의자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정치권에선 '신암선열공원 국립묘지화 법안'의 처리 여부가 대구경북의 정치력을 가늠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명분이 충분한 사안이기 때문이다.

독립유공자 예우에 관한 법률 제4조는 순국선열과 애국지사로 사망한 사람을 국립묘지 안장 대상자로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신암선열공원은 '국립묘지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의 적용을 받지 못하고 있다. 이에 신암선열공원은 대구시가 관리하는 현충시설로 지정돼 국가 차원의 체계적인 관리'운영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현재 신암선열공원에는 건국훈장 독립장(1기), 애국장(12기), 애족장(33기), 대통령표창(2기), 서훈 미취득(4기) 등 국내 최대 규모의 단일 독립유공자 집단 묘역(52기)을 구성하고 있다.

특히, 법률안 발의에는 대구'경북 여야 국회의원 전원이 참여한 데다 정진석'정용기'박찬우 의원도 힘을 보탰다. 정치권에선 명분이 충분한 데다 각당 수뇌부에 대구경북 의원들이 포진해 있어 지역 정치권이 힘을 모은다면 법안 통과도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정태옥 자유한국당 의원은 "법안이 국회를 통과할 수 있도록 꼼꼼하게 챙기겠다"며 "국가 관리에 따른 안정적인 유지'운영은 물론 대구시 유일의 독립운동가 집단 묘역의 국립화를 통한 시민 자긍심 고취 및 성역화에 기여하겠다"고 약속했다.

한편 정종섭'정태옥 의원은 앞으로 2'28민주운동의 국가기념일 지정을 위해서도 전력을 쏟기로 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