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들어 때이른 폭염이 이어지자 식품안전 당국이 식중독 주의보를 내렸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날씨가 무더우면 세균성 식중독균에 의한 식중독이 발생할 우려가 큰 만큼 여름철에는 음식물의 보관·관리·섭취에 각별하게 주의해야 한다고 23일 밝혔다.
실제로 식중독 발생통계 분석 결과를 보면, 여름철(6∼8월) 식중독 발생 건수(환자 수)는 2013년 13년 65건(1천693명), 2014년 112건(2천868명), 2015년 96건(3천8명), 2016년 120건(3천429명)으로 꾸준히 증가추세이다.
특히 작년에는 평년보다 여름철 온도가 1.2℃ 높고 폭염일수는 12일 이상 많아 식중독 환자 수가 2015년보다 14% 증가했다.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는 여름철에 식중독이 많이 발생하는 것은 높은 온도와 습도로 병원성 대장균, 살모넬라, 캄필로박터, 장염비브리오 등 세균 증식이 촉진되기 때문이다.
최근 5년(2012∼2016년) 여름철(6∼8월) 평균 발생 원인체를 보면, 병원성 대장균 20건(1천91명), 살모넬라 7건(369명), 캄필로박터 9건(351명), 퍼프린젠스 3건(149명), 장염비브리오 6건(58명) 등이다.
식약처는 상추나 오이, 부추 등 식재료를 깨끗하게 씻지 않거나 세척 후 상온에 뒀다가 먹을 때도 식중독이 발생할 수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또 '손 씻기, 익혀 먹기, 끓여 먹기' 등 식중독 예방 3대 요령을 항상 준수하고 냉장고 소독에도 신경을 써야 한다고 조언했다.
다음은 식약처가 제시한 여름철 식중독 예방을 위한 식품안전 관리 방법이다.
▲ 식재료는 필요한 만큼만 구매하고 식기 세척기 등 열이 많이 발생하는 기구 주위에 보관하지 않는다
▲ 조리 전과 생육·생선·계란을 만진 후에는 비누 등 손 세정제를 사용해 30초 이상 손을 씻는다
▲ 채소류는 염소 소독액(가정에서는 식초 사용 가능) 등으로 5분 이상 담근 후 물로 3회 이상 씻고, 절단 작업은 반드시 세척 후에 한다
▲ 세척 소독된 채소 등은 2시간 이내에 사용하거나 즉시 냉장 보관한다.
▲ 채소류를 포함한 음식물은 가능한 한 내부까지 완전히 익도록 충분히 가열조리하고, 김치는 충분히 숙성시켜 섭취한다.
▲ 조리된 음식은 상온에 방치하지 말고 가능한 한 빨리 2시간 이내에 섭취해야 한다.(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