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립 70돌 콘퍼런스 마무리…30여 벤처캐피탈 투자 논의
대성그룹이 창립 70주년을 맞아 화석연료 에너지를 미생물 에너지로 대체할 방안을 논의하는 장을 열었다. 대성그룹은 22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FEW NEXUS 콘퍼런스 & IICE 포럼'을 열었다. 이날 대성그룹은 '식량, 에너지, 물'이 서로 유기적 관계를 맺고 있다는 개념을 대성그룹의 100년 비전으로 밝히며 행사를 주도했다.
행사는 미생물이 'FEW 넥서스에 대한 솔루션'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진행됐다.
학술 콘퍼런스에서는 인하대 생명공학과 이철균 교수가 'FEW NEXUS 관점에서 본 바이오 연료 성공의 주요 기준'을, 이탈리아 피렌체대학 농업환경대 농업미생물학 마리오 트레디치 교수가 '바이오에너지 및 식용 해양 미세조류'를 발표했다.
또 시스템대사공학 분야 세계적 권위자인 KAIST 생명화학공학과 이상엽 교수가 '미생물 대사공학을 이용한 다양한 자연화합물 생산과 관련 생산성 확보 방안'을 발표해 주목받았다.
이어 미생물 관련 벤처기업 및 과학기술자와 투자자를 서로 이어 주는 IICE(Inventor-Investor Close Encounter) 포럼이 열렸다. 이 포럼은 대성그룹 김영훈 회장이 지난해 10월 민간 에너지 기구 '세계에너지협의회'(WEC) 회장으로 취임하면서 강조한 비전 중 하나로 이날 처음 열렸다.
포럼에서는 미생물,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분야 신기술을 보유한 총 6명(회사)이 발표했다. 또 30여 개 벤처캐피탈사(VC)가 참여해 발표와 투자 논의를 이어갔다.
영국 브리스톨 로봇연구소의 이오아니스 이에로폴로스 교수가 '소변을 이용한 미생물 연료전지와 이를 탑재한 로봇 개발'을 발표하며 투자설명회를 이끌었다. 이오아니스 교수는 앞선 다보스포럼에서 김 회장과 만난 일을 계기로 이날 행사에 참석했으며 1부 콘퍼런스와 2부 포럼에 모두 참여해 눈길을 끌었다.
김 회장은 "화석연료의 대안으로 다양한 에너지원에 대해 오랜 기간 고민하던 중 미생물 분야가 성장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해 이번 행사를 마련했다. 이번 콘퍼런스를 계기로 미생물을 활용한 물과 식량문제 해결의 가능성을 다시 한 번 확인했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