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미래 청소년]<하>사회가 학교다!

입력 2017-05-24 00:05:00

동아리 활동 청소년, 행복지수·학교 적응력 월등

봉사와 동아리 활동에 참여하는 청소년들이 행복감이 높고 자신의 적성과 흥미에 더 큰 관심을 갖는다는 연구 결과는 주목할 만하다. 사진은 학교폭력 예방 캠페인을 위한 준비 작업을 하고 있는 대구시청소년참여위원회 위원들. 대구시청소년활동진흥센터 제공
봉사와 동아리 활동에 참여하는 청소년들이 행복감이 높고 자신의 적성과 흥미에 더 큰 관심을 갖는다는 연구 결과는 주목할 만하다. 사진은 학교폭력 예방 캠페인을 위한 준비 작업을 하고 있는 대구시청소년참여위원회 위원들. 대구시청소년활동진흥센터 제공

# 대학에서 법학을 공부하고 있는 서영건 씨는 고교시절을 생각하면 뿌듯한 느낌이 든다. 대구시 청소년참여위원회 활동을 하면서 청소년 문화공간 확충에 대한 제안을 했는데, 이로 인해 서구 청소년문화의 집이 추가로 건립되었고, 청소년문화거리가 만들어졌다. 청소년참여위원회의 구'군 확대에도 기여했다. 작은 노력이 세상을 바꿀 수 있다는 사실에 놀랐다. 이제는 법조인이 되어 청소년들의 삶을 보다 윤택하게 하겠다는 장래 희망이 생겼다.

# 대구가톨릭대 사회복지전공 2년 박규연 씨는 동아리봉사단 활동으로 중'고교 시절을 알차게 보냈다. 장애인과 노인 복지시설 등에서 직접 봉사활동을 한 것은 물론, 동아리 임원으로서 활동을 기획하고 운영하는 경험도 했다. 무려 2천 시간을 각종 봉사활동으로 보냈다. 덕분에 대구시장상과 여성가족부장관상을 수상하는 영광도 누렸다. '36.5℃의 사람 냄새 나는 사회복지사'라는 꿈을 갖게 된 것도 이런 봉사활동을 통해 발견한 자신의 모습 덕분이다.

# 지난해 대구청소년자원봉사대회 대상(여성가족부 장관상)을 수상한 권정일 군은 현대자동차 특별채용에 합격했다. 봉사활동과 다양한 청소년 활동을 하면서 소통하는 방법과 리더십을 익히고, 발표력을 키운 것이 큰 도움이 되었다. 후배들에게도 청소년 활동을 적극적으로 권유할 계획이다.

봉사와 각종 동아리 활동은 청소년들이 자신의 진로를 찾는 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행복지수를 높이는 데에도 상당한 기여를 한다. 교육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이 주관한 '초중고 동아리 활동과 행복지수의 국제 비교 연구결과'는 이를 잘 보여준다.

유니세프의 어린이'청소년 행복지수를 모델로 한 영역별(학교생활, 개인행복, 건강, 소속감, 어울림, 외로움 등 6개 항목) 주관적 행복지수에서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평균을 100점으로 환산했을 때, 동아리 활동을 하는 우리나라 청소년의 행복지수는 107점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일반 청소년의 행복지수 74.0보다 크게 높다. 특히 '학교생활을 매우 좋아한다'는 응답 비율은 동아리 활동 학생이 59.2%인 데 비해 우리나라 학생의 일반적 평균은 37.6%에 그쳤다. 또한 동아리 활동 학생은 일반 학생들에 비해 학업보다는 자신의 적성과 흥미에 더 큰 관심을 갖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행복지수가 항상 OECD 국가 중에서 최하위권을 벗어나지 못하는 이유는 자명해진다. 거의 모든 청소년들을 대학 진학을 위한 교과 학습의 틀에 묶어 놓고, 봉사활동조차 대학 입시를 위한 도구로 만들어 놓았기 때문이다. 대학 입학 정원이 대입 지원자보다 더 많아지는 시대가 도래함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최근 발표된 연세대 사회발전연구소의 연구결과(유니세프 행복지수 활용)에 따르면, 빈곤 가정 비율이나 교육 자재'책 보유 비율 등으로 조사한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물질적 행복지수'는 핀란드(118)에 이어 2위(115점)를 기록했다. 그러나 우리나라 학생들의 주관적 행복지수는 88점으로 OECD 22개 회원국 중 20위에 불과했다. 지난해 조사에서는 22개 국가 가운데 꼴찌였다.

대구시 박나연 박사(청소년전공)는 "청소년이 청년이 되고 향후 지역사회를 이끌어 갈 지도자가 된다는 점에서 청소년이 행복하지 못하다는 것은 지역사회의 미래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면서 "청소년들이 지역사회에 애정을 갖지 못하고 행복을 느낄 수 없다면 '청년 유출' 현상은 막기 어렵다"고 말했다. 청년정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청소년 관련 정책이 뒷받침되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박 박사는 또 "비록 일부이기는 하지만 청소년 정책에 왜 지방정부가 나서야 하는지 의아해 하는 경우가 있다"며 "수도권 집중으로 인한 지방 붕괴의 위기 속에서 지역 공동체를 지키기 위한 청소년 정책은 지방정부의 최우선 과제 중 하나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