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인사는 대통령이 직접 해야, 그래야 초반 국정운영 쉽게 풀려"

입력 2017-05-16 00:05:04

김부겸 의원 입각설 입장 밝혀

문재인(왼쪽) 대통령이 지난 9일 밤 서울 세종로공원에서 열린 시민들과 함께하는 개표방송에서 김부겸 국회의원을 끌어안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왼쪽) 대통령이 지난 9일 밤 서울 세종로공원에서 열린 시민들과 함께하는 개표방송에서 김부겸 국회의원을 끌어안고 있다. 연합뉴스

김부겸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을 두고 정권 차원에서 대구경북 가교 역할 필요성이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국민 통합 대통령'을 표방한 문재인 대통령 입장에선 대구경북을 끌어안을 방법으로 김 의원의 중용이 무엇보다 절실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김 의원은 정작 신중한 입장이다.

그는 15일 매일신문과의 통화에서 "입각이나 정부 요직 등용은 현재로선 생각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니다. 인사권자가 계신데 내가 먼저 생각한다는 건 일의 순서가 뒤바뀐 것"이라며 "인사는 철저히 인사권자가 해야 하고, 그래야 정권 초반 국정운영이 쉽게 풀리게 된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는 지난 대선 후보 경선 중도 사퇴를 하면서 "정권 교체의 밀알이 되겠다. 교체된 정권에서 개혁을 바라는 국민의 요구에 부응하는 일이라면 무엇이든 하겠다"고 말해 민주당이 정권을 잡을 경우 역할을 행사할 뜻을 피력한 바 있다.

문재인 정권도 지역과의 가교 역할 적임자로 김 의원을 첫 번째로 꼽는 분위기다.

대선 공식선거운동 기간에 지역에서 욕을 먹으면서도 "정신들 차리이소"라고 목소리를 높인 이른바 '김부겸의 격정 유세'가 당시 문재인 후보에게 보고됐고, 이를 높이 평가했다는 후문이다.

또 김 의원은 한때 국민의당 입당 소식이 들리던 홍의락 무소속 국회의원을 끝까지 설득해 민주당 복당을 성사시키는 등 지역 내 민주당 당세 확장에 기여한 바도 인정받고 있다.

민주당이 15일 대대적인 당직 개편을 단행하면서 4선의 김 의원을 요직에 배치하지 않은 점도 그의 입각을 염두에 뒀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일찌감치 교육'사회 부총리 하마평에 오르내리는 김 의원에게 당직을 맡기다 입각해 버리면 다시 임명해야 하는 번거로운 일이 발생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민주당 한 관계자는 "대탕평이란 큰 기조에 당청이 이미 공감대를 이룬 만큼 대구경북 인사들도 입각 대상에 포함될 가능성이 크고, 그렇게 될 경우 김 의원이 가장 우선시되지 않겠느냐"고 전망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