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대통령, 대구 찾을 때마다 약속·공약집에도 명시
문재인정부가 10일 공식 출범한 가운데 대구시와 경상북도의 향후 5년에 대한 기대와 우려가 엇갈린다. 대구시는 제안한 많은 공약이 문 대통령의 공약집에 포함되면서 장밋빛 꿈을 꾸지만 경북도는 요청한 사업 대부분이 빠지면서 불안해하는 모습이다. 중요한 점은 공약에 들어가거나 빠졌다고 해서 가만히 앉아 낙관 혹은 비관만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대통령 공약 사업이라 해도 거저 주는 일은 기대하기 어렵다. 매일신문은 새 정부 5년을 맞닥뜨린 대구와 경북 현안을 다섯 차례에 걸쳐 집중 조명한다.
◆1천만 명 이용할 대구경북 관문공항
2023년 개항을 목표로 하는 통합 대구공항 이전사업은 대구가 내륙에 갇힌 도시로서 한계를 극복하고, 글로벌 도시로 나아갈 경쟁력 확보를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이 시의 판단이다. 그래서 문 대통령이 약속한 대구 현안 중 가장 주목받는 것이 통합 대구공항의 성공적 이전이다.
여기에는 통합 대구공항이 미주'유럽노선 취항 및 연간 1천만 명 이상의 미래 항공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활주로'터미널 등이 건설돼 명실상부한 대구경북 관문공항으로 역할을 해야 한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고 시는 설명했다. 3천500~3천800m급 활주로가 신설되고 연간 1천만 명을 수용할 수 있는 터미널 등 시설들이 들어서야 한다는 것이다.
문 대통령도 후보 시절 대구를 찾을 때마다 통합 대구공항 이전과 연계교통망 구축을 제일 먼저 언급했다. 통합 대구공항 이전이 대구의 미래 먹을거리와 어떻게 직결되는지 잘 알고 있다는 것이 더불어민주당 대구시당 관계자의 얘기다. 그래서 시는 큰 기대를 하고 있다.
◆지역사회 공동체 합의가 선행?
하지만 다소 찜찜한 대목도 있다. 문 대통령 대선 공약집에 명시된 '대구경북 지역사회 공동체의 합의를 통해 대구공항을 지역거점공항으로 육성하겠다'는 문구다. 지역사회 합의가 선행돼야 통합 대구공항 이전을 지원하겠다는 뜻으로 읽히기 때문이다.
지금도 통합 대구공항 이전을 두고 지역 일각에서는 'K-2 군사공항만 이전하고, 민간공항은 존치해야 한다'는 분리 이전 목소리가 사그라지지 않고 있다. 특히 임대윤 더불어민주당 대구시당위원장이 분리 이전을 주장하는 것으로 알려져 시가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지가 관건이다. 시 관계자는 "지역사회의 합의는 어차피 통합 공항 이전을 위해서는 반드시 헤쳐 나아가야 할 숙제다. 만약 이 문제를 풀게 되면 새 정부에 당당하게 더 중요한 것까지 요구할 수 있는 명분도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 3월 26일 대구를 찾아 "대구와 경북 간의 합의가 필요하다. 합의가 이뤄지면 통합 대구공항 이전에 중앙정부가 적극 지원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공항철도 등 연결교통망 구축이 핵심
통합 대구공항이 영남권 대표 관문공항의 역할을 하려면 뛰어난 교통 접근성이 필수다. 특히 현재 도로'철도 등 연계 교통망 확충에 전력을 쏟는 김해신공항과의 차별화 및 경쟁 우위 확보를 위해서는 얼마나 많은 이용객을 창출할 수 있느냐가 관건이다. 첨단산업은 대부분 물류 수송을 항공편으로 해 대량 수송이 가능한 철도망 구축은 미래 대구경북의 첨단산업 유치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그래서 시는 예비이전후보지인 경북 군위'의성군과 30분이면 도착할 수 있는 공항철도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현재 동대구'서대구 KTX역을 연결하는 직결선(공항철도) 구축을 구상 중이다. 동대구 KTX역과 앞으로 들어설 서대구 KTX역을 두고 출발점을 저울질하는 것이다.
동대구 KTX역과 예비이전후보지 사이에는 팔공산이 가로막혀 있어 공사비가 서대구 KTX역보다 더 들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이용객 측면에서는 강점이 있다는 것이 시의 분석이다. 이 때문에 조만간 경제타당성 분석 등 연구용역을 통해 최종 입지를 정한다는 방침이다. 공사비는 2조~3조원가량 들 것으로 추정된다. 대구시는 공항철도가 연결되는 KTX역사에 입'출국 수속이 가능한 도심터미널을 만들어 공항으로 떠나는 이용객들에게 최대한 편리하게 만들 계획이다.
◆기존 선로 활용해 주요 도시 연결
시는 중앙선, 경부선, 대구산업선, 대구선, 동해선 등 기존 철도노선에서 통합 대구공항으로 연결하는 철도망을 구축, 영남권 주요 도시와의 접근성을 높이겠다는 복안을 마련했다. 서울 청량리에서 출발해 강원도를 거쳐 경북 북부(영주'안동)로 내려오는 중앙선 경우 의성역이나 군위역에서 공항으로 이어지는 연결선을 새로 만들 예정이다. 10~15㎞ 구간에 총공사비는 300억~450억원으로 추정된다. 서울 등 수도권 지역의 여객 수송은 물론 유류'화물 등 항공물류 이송에 큰 장점이 있다.
기존 경부선을 통해 오는 여행객은 공항철도를 활용하면 편리하게 통합 대구공항을 이용할 수 있다. 수도권과 대전'충청권, 경북 서북부 지역에서의 접근성이 높아진다고 시는 설명했다.
현재 정부 예비타당성 조사가 진행 중인 대구산업선을 활용하는 방안도 있다. 1조1천억원의 공사비를 들여 서대구에서 창녕 대합까지 32㎞ 구간을 연결하는 대구산업선이 놓이면 부산경남과 대구 서남부 지역 여객은 물론 항공물류 이송에도 큰 힘이 될 것으로 시는 보고 있다. 또 지난해 6월 '제3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에 확정'고시돼 조만간 예비타당성 조사 결과가 발표될 예정인 남부내륙철도(김천~거제'182㎞'공사비 4조7천억원)가 건설되면 경남권과도 한층 더 가까워질 것이라고 시는 밝혔다. 이 밖에 포항, 경주, 울산 등 동해안권 여객과 물류 이송에는 대구선(대구~영천)과 동해선(부산~울산~경주~포항)을 최대한 활용할 방침이다.
◆도로망 확충도 관건
시는 올해 내 완공되는 상주~영천 고속도로(94㎞'7월 완공)와 팔공산터널(군위군 부계면~칠곡군 동명면'14㎞'12월 완공) 외에도 사업비 2조원대의 도로망 확충계획안을 최근 마련했다.
대구시는 ▷중앙고속도로(금호JC~가산IC) 확장(25㎞) ▷동대구JC~수성IC 연결(7㎞) ▷성주~군위 고속도로 개설(23㎞) ▷대구 조야동~칠곡군 동명면 광역도로 개설(9.7㎞) 등 신설 도로망으로 확정했다. 이들 도로가 확충되면 대구는 물론 안동, 구미, 포항, 경주 등 경북 주요 도시에서의 접근성이 한층 개선된다. 시는 이 도로 건설에 총 2조원의 예산이 필요할 것으로 보고 있다. 대구시 김창엽 도로과장은 "이들 연계도로망이 갖춰지면 민항 주요 수요지인 대구와 경북 주요 도시에서 1시간 이내에 접근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해 '대구공항이 이전하면 접근성이 떨어질 것'이라는 걱정은 할 필요가 없다"고 했다.
문제는 이들 교통망 확충을 위한 국비 확보다. 시 관계자는 "문 대통령이 통합 대구공항 교통망을 구축해 접근성을 높이는 것도 중앙정부가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언급한 만큼 지역 정치권 등과 손을 잡고 건의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