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 대선과 대출 규제,정책 불확실성 등의 악재에도 불구하고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주택가격 상승 폭이 커졌다.재개발·재건축,교통망 개선 등 개발 호재가 있는 지역의 주택가격이 강세를 보인 영향이다.
한국감정원이 30일 발표한 4월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에 따르면 이달 전국의 주택가격은 0.10% 올라 지난달(0.06%)에 비해 오름폭이 0.04%포인트 커졌다.이는 작년 4월(0.02%)에 비해서도 높은 수준이다.
서울의 주택가격은 지난달 0.13%에서 이달에는 0.23%로 급등했다.
구별로는 영등포구가 0.40%로 가장 많이 올랐고,마포구(0.39%),강서구(0.38%),용산구(0.34%),구로구(0.33%) 등이 뒤를 이었다.주로 업무지구의 접근성이 양호하거나 재건축·재개발 등 정비사업 추진으로 주거환경 개선이 기대되는 지역들이 강세다.
또 경기도가 지난달 0.04%에서 이번 달엔 0.10% 오르는 등 수도권의 매매가격이지난달 0.08%에서 0.15%로 오름폭이 확대됐다.
지방은 0.05%로 지난달(0.04%)과 유사한 흐름을 보인 가운데 부산(0.28%),강원(0.26%) 등은 상승했고 충남(-0.10%),경북(-0.07%),경남(-0.07%) 등지는 하락하는등 지역별 온도차가 컸다.
주택 유형별로는 전국 아파트 0.06%,연립주택 0.07%,단독주택 0.21%를 기록하며,아파트보다 연립·단독주택의 상승 폭이 높았다.
이에 비해 수도권에서는 아파트 0.16%,연립주택 0.10%,단독주택 0.17%로 모든유형에서 3월보다 상승 폭이 확대됐다.
매매보다는 전셋값이 안정세다.
지난달 전국의 주택 전셋값은 0.07%로 지난달과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이는 작년 동월 상승폭(0.10%)보다 낮은 수준이다.
지역별로 강원(0.22%),서울(0.18%),부산(0.15%) 등은 상승한 반면,세종(-2.74%),충남(-0.18%),경북(-0.09%) 등은 하락했다.
이사 수요가 감소하고 입주 물량은 늘면서 전국의 주택 월세가격은 지난달보다 0.03% 하락했다.유형별로 월세와 준월세는 각각 0.06%,0.04% 하락했고 보증금 비율이 높은 준전세는 0.03% 상승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철우 "안보·입법·행정 모두 경험한 유일 후보…감동 서사로 기적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