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연휴 가능할까?' 5월 임시공휴일 지정 가능성은…?

입력 2017-02-23 14:21:58

정부가 23일 조기 퇴근을 유도하는 내용 등 다양한 내수진작책을 쏟아내면서 5월 임시공휴일 지정을 둔 설왕설래가 부풀어오르고 있다.

5월 첫째 주는 1일 노동절, 3일 석가탄신일, 5일 어린이날이 각각 월·수·금요일에 끼여 있어서 화요일과 목요일만 임시공휴일로 지정되면 4월 29일부터 5월 7일까지 최장 9일의 황금연휴가 완성된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 5월에도 정부가 임시공휴일을 또 지정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5월 임시공휴일 지정 가능설은 올 초부터 솔솔 피어올랐다. 정부가 지난해 5월 5일 어린이날과 주말인 7∼8일 사이에 있는 6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고 내수진작책을 시행해 적지 않은 경제효과를 봤기 때문이다.

최근 극심해지고 있는 소비절벽에 고민이 많아진 정부가 임시공휴일 카드를 꺼낼 수 있다는 추측이 나오고 있는 것이다.

특히 5월 임시공휴일에 대한 관심은 정부가 매달 하루를 '가족과 함께하는 날'로 정해 단축 근무를 유도하겠다는 내수진작책을 발표하면서 다시 고개를 들기 시작했다. 하지만 정부는 5월 임시공휴일 지정 가능성에 대해 아직 검토할 단계가 아니라고 밝히고 있다. 5월까지는 아직 시간이 많이 남아있다는 이유에서다. 실제 지난해 5월 임시공휴일 지정 결정은 연휴를 열흘 정도 앞둔 4월 26일에서야 최종 확정이 됐다.

임시공휴일 지정을 본격적으로 검토하기 위해서는 경제효과 분석 및 사회 각계 여론 수렴 등의 절차도 거쳐야 한다. 여기에다 조기 대선 가능성 등 정치·사회적 불확실성이 크다는 점도 현 시점에서 임시공휴일 결정을 어렵게 하는 요인 중 하나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