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은 겨우 명맥만 유지되고 있는 5일장이라고 하면 흔히 시골장을 떠올린다. 우리나라 5일장은 조선시대의 장시(場市)에서 그 역사를 찾을 수 있는데, 장시는 주로 보부상들이 일반인을 대상으로 상품을 매매하던 정기 시장이다. 점차 시간이 지나면서 장시는 농민, 수공업자, 어민 등 직접 생산자들이 일정한 날짜와 장소에서 서로 물품을 교환하고 매매하는 시장이 됐다. 그래서 큰 고을이었던 지금의 시'군청 소재지에서는 보통 숫자 2와 7이 끝에 붙는 날짜에 장이 섰고, 주변 읍'면에서는 3/8, 4/9, 5/10일에 장이 서게 되었다. 보부상들은 멀리 타 지역에서 대량으로 구입한 물건을 주막에서 묵으며 며칠 동안 판매하고 돌아가곤 했다. 한 예로 충청도 금산장의 인삼이 경상도 영천 일대 시장으로 유통된 것은 이들의 역할 덕분이었다.
장날 아침에는 읍내로 가는 버스를 타기조차 힘들었다. 장에 가면 지금의 박람회처럼 신기하고 새로운 물건을 접할 수 있었다. 멀리 타지에서만 생산되는 상품을 구입할 수 있었고, 이전에 보지 못했던 신제품도 경험할 수 있었다. 장날에는 평소 기회가 없어 먹어보지 못한 맛있는 여러 가지 음식도 맛볼 수 있었다. 요즘 열리는 음식 전시회에서처럼 먹는 즐거움을 누릴 수 있었다.
5일장은 문화 향유의 장이기도 했다. 읽어보고 싶었던 책을 구입할 수 있었고, 길거리 화가의 그림 솜씨를 감상하고, 광대놀이나 품바 공연도 공짜로 볼 수 있었다. 장은 문화와 예술을 즐길 수 있는 장소였다. 5일장은 만남과 정보를 주고받는 기회도 제공했다. 장터에서 인편으로 멀리 시집간 누님의 소식을 들을 수 있었고, 친정아버지 환갑잔치가 열린다는 소식을 사돈집에 전해주는 것처럼 먼 친척 및 친지들과 안부를 주고받을 수 있었으며, 농사를 짓는 데 필요하거나 살아가는 데 도움이 되는 새로운 정보도 얻을 수 있었다.
그래서 5일장은 굳이 살 것과 팔 것이 없어도 국밥에 막걸리 한잔하고, 오랜만에 친지를 만날 생각에 기대감을 갖고, 이것저것 구경하며 얻는 설렘으로 하루를 보내려는 사람들로 종일 북적였다. 이처럼 장은 경제활동의 공간만이 아니었다. 다양한 즐거움을 얻을 수 있는 곳이기도 했다. 그래서 사람들은 장날이 끝이 나면 다음 장날만 기다렸다.
다품종 대량 판매를 하는 대형마트가 유행하며 전통시장은 점차 위축되고 있다. 더구나 스마트폰 같은 비대면적인 기기와 장치를 써서 더 빠르고 편리하게 정확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시대가 되기도 했다. 5일장의 1차적 기능인 경제적 기능은 아직 남아있지만, 대면 접촉으로 이뤄졌던 사회문화적 정취의 나눔은 사라지고 있다. 5일장이 그립고 아쉬울 때가 많다.
댓글 많은 뉴스
홍준표 대선 출마하나 "트럼프 상대 할 사람 나밖에 없다"
나경원 "'계엄해제 표결 불참'은 민주당 지지자들 탓…국회 포위했다"
홍준표, 尹에게 朴처럼 된다 이미 경고…"대구시장 그만두고 돕겠다"
언론이 감춘 진실…수상한 헌재 Vs. 민주당 국헌문란 [석민의News픽]
"한동훈 사살" 제보 받았다던 김어준…결국 경찰 고발 당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