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기차고 신나는 클래식 음악으로 힘찬 새해맞이
새로운 한 해의 시작을 알리는 대구시립교향악단의 '2017 새해음악회'가 1월 6일(금) 오후 7시 30분 대구콘서트하우스 그랜드홀에서 열린다. 대구시향 상임지휘자 줄리안 코바체프가 지휘봉을 잡고, 세계 유수의 콩쿠르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둔 신예 바이올리니스트 김다미가 협연한다.
이날 레퍼토리는 최근 가라앉은 사회분위기를 쇄신하고, 시민들에게 활기를 불어넣기 위해 '왈츠의 왕'으로 불리는 요한 슈트라우스 2세의 밝은 춤곡과 그의 동생인 요제프 슈트라우스의 '근심 걱정 없이', 폴카와 주페의 '아름다운 갈라테아' 서곡 등을 연주한다.
첫 곡은 로시니의 오페라 '윌리엄 텔' 서곡이다. 이 오페라는 1207년경, 스위스를 지배하던 오스트리아에 맞서 싸운 애국자 윌리엄 텔과 총독 게슬러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요즘은 오페라보다 서곡만 독립적으로 연주되며, 약 12분 동안 대조를 이루는 '새벽', '폭풍우', '정적', '스위스군의 행진'까지 완벽한 구성의 네 부분으로 진행돼 '4부 교향곡'으로도 불린다. 경쾌한 나팔 소리와 군인들의 늠름한 행진이 거침없고 웅장하다.
이어서 오펜바흐의 희가극 '호프만의 이야기' 중 '간주곡'과 '뱃노래(바르카롤)'를 연주한다. 프롤로그와 에필로그, 3막으로 구성된 오페라 '호프만의 이야기' 중 이 두 곡만 묶어서 종종 관현악으로 연주된다. 특히 베네치아의 곤돌라 사공이 부르는 노래 또는 그것을 본뜬 기악곡을 일컫는 '바르카롤'은 춤추는 파도와 노 젓는 소리, 배의 일렁임 등을 생동감 있게 묘사하고 있다.
바이올리니스트 김다미의 연주로 생상스의 '서주와 론도 카프리치오소'는 느릿하면서도 애수 어린 서주와 화려하고 발랄한 카프리치오적 구성의 론도로 이뤄져 있다. 생상스가 스페인의 천재 바이올리니스트 사라사테를 위해 작곡한 곡으로, 스페인의 토속적인 집시 음악을 연상케 한다. 또한 연주자가 마음껏 기량을 뽐낼 수 있기에 오늘날 명협주곡으로 손꼽힌다.
김다미는 하노버 요아힘 국제 콩쿠르 우승, 파가니니 국제 음악 콩쿠르 1위 없는 2위 등 다수의 콩쿠르에서 수상했다. 뉴잉글랜드 콘서바토리와 독일 크론베르크 아카데미를 졸업하고 현재 뉴욕주립대에서 박사과정 중에 있다.
공연 중반부에서는 '왈츠의 아버지' 요한 슈트라우스 1세의 장남 요한 슈트라우스 2세(1825∼1899)와 차남 요제프 슈트라우스(1827∼1870)의 작품들이 펼쳐진다. 연초가 되면 세계 각지에서 새해음악회가 열리고 있는데, 왈츠와 폴카를 중심으로 한 레퍼토리는 전 세계 클래식 음악팬들의 관심이 집중되는 오스트리아 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신년음악회 전통에 따른 것이다.
요제프 슈트라우스의 '천체의 음악'은 밤하늘의 아름다운 별들과 별들의 운행에 대한 요제프 슈트라우스의 감상을 표현한 것이다. '근심 걱정 없이' 폴카는 제목처럼 걱정은 내려놓고, 흥겨운 선율에 귀를 기울이다 보면 저절로 웃음이 난다는 곡이다.
마지막 연주곡인 요한 슈트라우스 2세의 '아름답고 푸른 도나우' 왈츠는 세계 각국의 새해음악회에서 빠지지 않는 단골 작품이다. 이 곡은 1867년 작곡됐다. 당시 오스트리아는 지금의 독일인 프로이센과의 전쟁에서 패한 후 나라 전체가 침통한 분위기에 휩싸여 있었다. 이때 슈트라우스 2세는 실의에 빠진 국민들에게 희망과 용기를 불어넣기 위해 이 곡을 만들었다. 오늘날에도 요한 슈트라우스 2세의 대표작으로 꼽힌다. A석 1만6천원, B석 1만원. 1544-1555,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