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X 구미 정차 연구용역비 반영, 국회의원 '협의' 무시하고 결정

입력 2016-12-08 04:55:05

기업 의견 듣지 않고 합의안 도출…신구미역 타당성 조사도 무용지물

KTX 구미 정차 방안을 놓고 구미시장과 국회의원이 딴 목소리를 내고 있다는 비판(본지 11월 24일 자 10면 등 보도)이 대두되는 가운데 국회의원이 세 가지 안 중 한 가지 방안으로 정부 연구용역비를 확보, 지역 내 협의'조정'통합 등의 과정을 무시했다는 비난이 일고 있다.

KTX 구미 정차 문제는 당초 구미공단 대기업의 투자환경 개선 등 위기의 구미경제 살리기 해법 1순위로 요구됐으나 대기업을 비롯해 기업인들의 의견 청취는 완전히 배제되는 실정이다.

게다가 구미시와 칠곡군이 연구용역비 1억4천만원을 들여 이미 진행 중인 남부내륙철도 신구미역(칠곡군 북삼읍 일대) 신설에 대한 타당성 조사 역시 배제될 처지에 놓였다.

새누리당 백승주(구미갑)'장석춘(구미을) 의원은 최근 내년 정부 예산에 KTX 구미역 정차 방안 연구용역비 3억원을 반영했다고 밝혔다.

구미역 정차 방식은 국철인 경부선과 KTX 노선 간 인입선 2.2㎞를 연결해 구미역에서 KTX를 이용하는 것으로, 구미역세권 활성화에 유리하다. 하지만 KTX 김천역이 있는 김천시가 KTX 김천역세권 침체를 우려하며 강하게 반발하는 것이 문제다.

게다가 구미에선 이 방안과 함께 ▷남부내륙철도 신구미역 신설 방안 ▷대구권 광역철도 2단계 사업 KTX김천(구미)역 경유 방안 등 세 가지 안이 논의 중이지만 국회의원들은 지역 합의안 도출을 위한 협의'조정 등 과정조차 없이 일방적으로 한 가지 방안을 결정했다.

구미경실련은 7일 '시장'국회의원 협치 실종'이란 성명서를 통해 "KTX 구미 정차 방식을 국회의원이 유리한 대로, 일방적으로 결정해 대기업의 외면을 받는 것은 물론 구미시와 칠곡군이 이미 진행 중인 연구용역도 무용지물이 되는 등 분열과 혈세 낭비를 초래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또 "지역 합의안 도출 없이 KTX 구미 정차 방식이 제각각으로 추진되는 것은 구미시장과 국회의원의 협치 실종"이라고 성토했다.

이와 함께 구미경실련은 "칠곡 북삼읍에 KTX 간이역 설치, 구미 5산단~KTX 김천역 간 자동차 전용도로 신설 등 구미 정차 방식에 대한 몇몇 의견들이 있는 만큼 지역합의안 도출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면서 "국회의원들은 지역의 다양한 의견을 연구용역 과업 지시에 포함되도록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