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연례화한 AI 피해, 이제 선제적 대응책 나와야

입력 2016-12-05 04:55:08

신종 AI가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되고 있다. 각 지방자치단체가 신종 H5N6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AI)를 막기 위해 강력한 방역 조치를 취하고 있다지만 역부족이다. 지난 10월 첫 바이러스 검출 후 한 달여 만에 전국의 닭 오리농장 101곳이 감염 확진 판정을 받았다. 살처분된 닭과 오리가 이미 300만 마리를 넘어섰다. 정부와 지자체의 대응 능력에 구멍이 뚫렸다는 의심을 지우기 어렵게 됐다.

3일 경북 영주의 한 닭 부화장이 AI가 발생한 경기도 이천의 한 양계장에서 종란 10만8천 개를 반입한 사실이 확인됐다. 종란이 반출된 양계장은 경기도 동물위생시험소 검사 결과 양성반응이 나온 곳이다. 옮겨 다녀서는 안 될 AI 발생 농장의 종란이 도 경계를 넘나든 것이다. 뒤늦게 이를 안 경북도는 해당 부화장에 대해 폐쇄 조치를 취하고 반입한 종란을 폐기했다지만 자칫 경북도의 AI 청정 지역 지위가 흔들릴 뻔했다.

AI는 연례행사처럼 되풀이되고 있다. 발생 일수도 길어지고 발생 시군도 확대되고 있다. 겨울철이 아닌 여름철에 발생한 사례도 나왔다. 2014년 발생한 H5N8형은 거의 2년 동안 간헐적으로 발병하며 축산 농가를 울렸다. 이번 H5N6형 AI 역시 피해 정도나 확산 속도로 미뤄 지난 피해를 능가할 수도 있다는 우려가 크다. 정부는 AI가 확산되자 철새를 탓하고 있다. AI 이동 경로가 철새 이동 경로란 점을 강조하고, H5N6 바이러스가 신종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면서 발생 농가 가금류 살처분과 주변 소독, 차량 이동 제한 등 조치를 취하는 것이 고작이다.

AI 피해가 해마다 발생한다면 정부는 선제적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 기존 발생 지역 따라다니기식 대응은 한계를 지닐 수밖에 없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아시아 전역을 대상으로 AI 바이러스에 대한 감시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조기 경보를 위해 철새 이동 경로에 있는 나라에 가서 연구하고 협력해야 한다. AI 진단과 처방에 걸리는 시간도 최대한 당겨야 한다. 일단 발생하면 즉각 과감한 살처분과 철저한 이동 제한 조치는 기본이다. 사후 조치식 당국 대응은 늦을뿐더러 피해 방지에 도움을 주지도 못한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