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대구역 쪽 최악 체증 초읽기…신세계-시 교통대책 허송세월

입력 2016-11-24 04:55:05

신세계백화점 내달 오픈

내달 영업을 시작하는 대구신세계와 동대구복합환승센터 교통대책이 난항을 겪고 있다.

대구시는 차량 이용 억제를 위해 '한시적 주차장 유료화'를 주장하는 반면 신세계는 개점 효과 반감을 이유로 반대하고 있으며 양측 입장을 좁히지 못하고 있다.

백화점과 환승센터 내 주차 면수는 2천900면으로 주말 한 시간 기준 예상 이용 차량 2천600대를 넘는 수준이지만 고가도로 등 주변 공사가 진행되고 있어 주차장 진입 차량이 많아지면 동대구역 일대 연쇄 체증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대구시와 신세계는 23일 환승센터 교통대책회의를 열고 협의를 벌였지만, 주차장 유료화에 대해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시는 내년 설 연휴까지 약 1개월여간 한시적으로 주차장을 이용하는 모든 차량에 주차요금을 물릴 것을 주장했다. 반면 신세계는 5만~15만원 이상 일정 금액을 구매한 고객에게 1~3시간의 무료 주차를 허용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시는 당초 동대구역고가교가 완공되는 내년 10월까지 주차장 전면 유료화를 제안했지만 낮은 실효성과 영업 손실을 우려한 신세계의 반대로 내년 설 연휴까지로 한발 물러섰다. 이는 개통 후 교통이 안정되기까지 주차장 유료화를 통해 유입 차량을 억제할 수 있고, 주차한 차량도 주차료로 인해 출차하는 시간이 당겨져 주차장은 물론 주변도로의 통행 순환이 더 나아질 것으로 봤기 때문이다.

하지만 신세계는 주차료로 인한 교통 수요 감소 효과가 낮고, 이용 차량의 불편을 높일 수 있다는 입장이다. 신세계 관계자는 "도로가 막히면 백화점 영업에도 손해이기 때문에 교통대책 마련에는 동의를 한다"며 "하지만 주차장 전면 유료화는 다른 곳에서 찾아볼 수 없고 그 효과도 크지 않다"고 했다.

대구시 관계자는 "동대구역 주변은 지금도 정체를 빚고 있기 때문에 환승센터 준공 이후에는 통행 혼잡이 더 심해질 것"이라며 "전면 유료화 등 가능한 대책을 모두 도입해 교통 문제를 최소화해야 하는데 합의점을 찾기가 쉽지 않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