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감정원 1∼7월 해외동향 분석…"주요국 대비 안정세 유지, 저금리 기조 변동성 주목"
우리나라의 주택가격 상승 폭이 주요 국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7일 한국감정원의 해외 주택시장 동향 분석 결과에 따르면 올해 1~7월(누계) 캐나다는 9.69%, 중국은 9.37%, 영국은 5.50%의 주택가격 상승률을 기록한 반면 한국은 1.37%를 기록했다.
미국의 경우 지난 7월 기준 케이스쉴러(S&P Case-Shiller) 주택가격지수는 4.69% 상승했다. 일본도 같은 기간 2.03% 집값이 올라 한국보다 상승폭이 컸다.
특히 영국은 브렉시트(6월, 유럽연합 탈퇴) 및 경기 침체로 파운드화 가치가 31년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다. 하지만 주택시장 둔화 예상을 깨고 전반적인 공급물량 부족과 중국인을 비롯한 외국인 투자수요 유입으로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
국가별 7월 평균 주택가격은 캐나다 4억8천544만원, 영국 3억1천914만원, 미국 3억1천795만원 순으로 조사됐고 우리나라는 실거래(신고월, 주택종합) 가격 기준 2억8천314만원을 기록, 이들 국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었다.
강여정 한국감정원 주택통계부장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저금리 등의 영향으로 시중에 유동성이 풍부해지면서 주요 국가들의 주택가격이 크게 오른 측면이 있다"며 "우리나라의 주택가격은 주요 국가와 비교해 주택가격이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지만 다른 국가와 마찬가지로 저금리 기조가 계속되고 있음을 고려할 때 주택가격의 변동추이를 계속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