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부정·비리 대구시의원, 의원직 사퇴로 사죄하라

입력 2016-10-20 04:55:02

대구시의회가 일부 시의원들의 독직(瀆職)'부패(腐敗)로 몸살을 앓고 있다. 이런 행태는 당사자의 자질 시비를 넘어 지방자치제 자체에 대한 회의까지 불러일으킬 수도 있는 심각한 문제다. 부정'비리가 과연 이들에게만 국한된 것일까 하는 의구심을 자아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풀뿌리 민주주의의 위기를 막으려면 무엇보다 지방의원들 스스로의 도덕 재무장이 필요하다.

그 필요성은 19일 건설교통위원장직을 사퇴한 조성제 시의원이 잘 말해준다. 그는 수십 년에 걸쳐 건물을 불법 증축하고 이를 임대해 수억원의 수익을 올렸다. 일반인들도 해서는 안 될 일을 시민의 대표가 저질렀다는 점에서 시의원 자격이 없다. 조 의원은 상임위원장직을 사퇴하고 다른 상임위로 옮기기로 했지만, 그렇게 끝날 일이 아니다. 시의원도 사퇴하는 게 맞다.

차순자 복지문화위원장과 김창은 전 시의원의 부정'비리도 개탄스럽긴 마찬가지다. 차 위원장은 본인 소유 임야에 도로를 내는 데 드는 특별조정교부금 배정을 김 전 의원에게 부탁하고, 대가로 임야 일부를 판 혐의로 남편과 함께 검찰 수사를 받고 있다. 상임위원장직은 물론 시의원직도 사퇴해야 마땅하지만, 아직 아무 말이 없다.

대구시 공무원에게 특별조정교부금을 편성하도록 압력을 넣고, 차 위원장에게서 땅을 사들여 시세 차익을 얻은 혐의로 구속기소된 김 전 의원은 사퇴했다. 법원의 최종 판결 이전에는 현직에서 물러나지 않는 것이 통례임을 감안할 때 그나마 '양심적'이라고 하겠다.

이들 세 사람의 행위는 시의원직을 사익 추구의 도구로 이용했다는 공통점을 갖는다. 조 시의원은 아니라고 할지 모르나 불법 증축에 아무런 행정 조치도 없었다는 사실 자체가 행정 관청에 대한 유'무형의 압력 행사 가능성을 의심케한다. 이것도 수사기관이 규명해야 할 문제다.

모두 시민의 대표로서 마땅히 지녀야 할 도덕성과 양심의 부재가 빚은 결과이다. 이런 자격 미달자들이 시의원 행세를 계속하는 한 지자체의 발전과 안정적 정착은 요원하다. 시의원들의 부단한 자기 점검이 있어야 한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