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럭시노트7 전격 생산 중단으로 구미 경제가 큰 타격을 받을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갤럭시노트7 생산기지인 삼성전자 구미 스마트시티는 구미 전체 수출의 30%, 지방세 수입의 25% 정도를 차지하는 등 구미 경제의 절대적 버팀목이어서 구미의 충격은 상당하다.
이런 가운데 구미시와 구미 경제단체 관계자들은 "구미시민들이 힘을 모아 갤럭시7 제품 구매운동에 나서는 등 삼성전자 살리기를 범시민운동으로 벌여야 한다"며 한목소리를 내고 있다.
구미시에 따르면 삼성전자 구미 스마트시티는 대구경북에서 지방세(법인 지방소득세'주민세'재산세'자동차세)를 가장 많이 내는 기업이다. 2014년 지방세 납부액은 977억원, 지난해는 1천476억원을 내 구미 한 해 지방세수의 25% 정도를 책임졌다.
하지만 올 들어 지난 7월까지 지방세 납부액은 591억원으로 지난해에 비해 885억원이나 감소했다.
삼성전자에 각종 악재가 터지면서 해외법인세, 갑근세 특별징수분 등 삼성전자 본사에서 지역의 사업장별로 배분하는 금액이 저조했기 때문이다.
삼성전자 구미 스마트시티는 지난해 90억달러(10조350억원)가 넘는 수출 실적을 올려 구미 전체 수출 실적(273억달러)의 30% 정도를 차지하기도 했다.
하지만 최근 갤럭시노트7 전량 리콜 파문으로 올 하반기 미국 등 해외 수출에 비상이 걸린 상태여서 지역 경제인들은 올해 구미의 수출 실적이 최악이 될 것이라며 걱정을 하고 있다. 구미는 삼성전자의 휴대전화 신제품 출시에 따른 호응 정도가 전체 수출 실적 증감에 큰 영향을 미친다.
구미의 수출 실적은 올 들어 지난 8월까지 160억1천100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 180억8천700만달러에 비해 11%나 감소했다.
구미는 물론, 경북 경제의 절대비중을 차지하는 삼성전자가 어려움을 겪는데 팔짱만 끼고 있을 수 없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삼성전자 스마트폰 구매운동 등 어려움을 겪는 삼성전자에 기를 불어넣는 운동을 범시민적으로 펼쳐 보자는 것이다.
구미시민들은 2007년 경영난을 겪는 LG필립스LCD를 돕기 위해 범시민운동 차원에서 '주식 1주 갖기 운동'을 펼쳐 힘을 모은 바 있다.
조근래 구미경실련 사무국장은 "삼성의 위기는 구미의 위기다. 남유진 시장과 백승주'장석춘 국회의원 등이 직접 나서 기업의 기를 살려내는 모습을 선도해 보여줘야 한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