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조치 하임리히법, 음식물이 목에 걸려 질식상태에 빠진다면?

입력 2016-10-10 10:31:31

사진. 국가건강정보포털
사진. 국가건강정보포털

응급조치 '하임리히법'이 이목을 집중시켰다.

하임리히법이란 이물질에 의한 기도폐쇄에 적용되는 대표적인 응급처치법이다.

주로 약물이나 음식물 등이 목에 걸려 기도를 막아 질식상태에 빠졌을 때 실시한다.

일반적으로 기도가 막혀 의식을 잃는 경우는 입 안의 부러진 치아나 출혈 등 외상에 의해, 또는 혀가 뒤로 말리거나 구토물에 의해 발생된다. 소아와 고령자의 경우에는 이물질이나 사탕, 고기, 땅콩 등 음식물을 삼키다가 기도가 막힐 수 있다.

기도가 막히면 말을 하지 못하면서 양쪽 손으로 목을 쥐는 촉킹 싸인(chocking-sign)현상이 발생하는데, 이 때 얼굴과 입술이 파랗게 변하는 청색증이 나타난다.

의식이 있으며 호흡상태가 정상일 경우, 계속 기침을 하도록 유도해야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목에 걸린 이물질이 배출되지 않으면 즉시 119로 연락을 취해야한다.

환자가 의식이 있고 기침을 할 수 없는 상황이면 하임리히법을 시행한다. 먼저 환자를 세우거나 앉힌 뒤, 뒤에 서서 환자의 허리를 팔로 감고 한 손은 주먹을 쥔다.

이 응급처치법은 환자의 등 뒤에 서서 양팔을 뻗어 한쪽 주먹을 환자의 명치와 배꼽 사이 중간에 대고 다른 손으로 감싸 쥔 채 빠르고 강하게 복부를 위쪽으로 강하게 밀쳐 올리는 방식이다.

이때 응급조치를 하는 사람이 한쪽 다리를 환자 다리 사이에 넣어 몸이 흔들리지 않도록 지탱하고 이물질이 나을 때까지 동작을 반복한다.

응급처치를 하기 전에 기도폐쇄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은 치아가 거의 없거나 약한 어린아이나 노인에게 많이 발생하므로, 이들은 음식물을 먹을 때 목에 걸리지 않을 정도의 크기로 잘게 썰어 놓는 등 음식을 먹을 때 각별히 신경써야 한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