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박한 청와대, 북핵 수시 보고

입력 2016-10-09 19:57:23

박 대통령 국제사회 동향 파악…유엔 안보리 대북재개도 촉각

박근혜 대통령이 북한의 노동당 창건일인 10일을 기해 북한의 도발 위협이 한껏 고조되면서 북핵 대응에 집중하고 있다.

북한이 노동당 창건일을 전후로 6차 핵실험이나 장거리미사일 발사 등의 중대 도발을 감행할 수 있다는 징후가 포착돼서다.

청와대 관계자는 9일 "현재 국정의 최우선 과제는 북핵 위기에 대한 대응"이라면서 "지금이 비상사태라는 인식에 따라 긴장감을 늦추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지금은 북핵 공포의 상시화에 들어선 단계로, 상시적인 북한 핵협박의 피해자는 바로 우리"라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주말 내내 북한의 핵실험장과 미사일 발사장 등에서 감지되는 각종 움직임은 물론 북한을 둘러싼 국제사회의 동향 등에 관해 수시 보고를 받으면서 대책 마련에 골몰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북핵 협의를 위해 미국을 방문하고 귀국한 조태용 국가안보실 1차장 겸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처장으로부터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부 부장관과의 회동 결과와 유엔 안보리의 새 대북제재 결의 관련 동향 등을 중점적으로 보고받은 것으로 보인다.

국제사회의 대북 공조와 더불어 박 대통령은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이 오히려 체제 붕괴로 이어질 것이라는 경고를 반복하면서 중간 간부와 일반 주민들의 이탈을 촉구하는 '투트랙' 전략으로 김정은 정권을 압박하는 데 공을 들이고 있다.

박 대통령은 11일 국무회의에서도 북한에 대한 강력한 경고메시지를 발신할 가능성이 크다고 복수의 참모들이 전했다. 이와 함께 북핵 대응 차원에서 국민 단합을 강조하고 있는 박 대통령이 최근 야당의 집중 타깃이 된 미르'K스포츠재단, 최순실 씨와 차은택 CF 감독 의혹에 대해 직접 언급할지도 관심이다.

야당이 국정감사 시즌을 맞아 해당 의혹을 청와대와 연결해 권력형 비리로 부각하는 데 주력하는 정국 상황을 완전히 무시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지난 4∼6일 갤럽 여론조사 결과 박 대통령의 국정수행 긍정평가는 29%로 취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한 참모는 "정치권에서 시중에서 떠도는 루머 수준의 의혹을 자꾸 제기하는 경향이 심해지는 것 같다"면서도 "안보가 우선 과제라는 점에서 대통령께서 직접 의혹에 관해 입장을 밝히지는 않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