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는 대구대공원 부지 개발 나서라"

입력 2016-10-04 04:55:06

추진위 위원들 시청 항의 방문…민간 사업 공모·개발 계획 요구

대구시에 대구대공원 부지 개발을 요구하는 탄원서를 제출했던 수성구 주민들이 실력 행사에 나선다.

해당 주민들에 따르면 4일 오전 11시쯤 대구대공원추진위(이하 추진위) 위원들이 시청에 항의 방문하는 것을 시작으로 6일부터 시청 앞에서 릴레이 1인 시위를 이어가고 20일 오전 주민 1천여 명이 참석하는 대규모 집회를 열 계획이라고 밝혔다.

추진위 김지우 총무는 "수성구청이 제안한 기부채납 방식안을 보고 참여 의사를 밝힌 민간사업자가 있는데도 시가 미적대고 있다"며 "속히 민간사업자 공모를 하고 개발 계획을 마무리 지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수성구청은 지난해 민간사업자가 공원 전체 부지의 70%를 공원으로 조성해 시에 기부채납하고 나머지 30%는 주거'상업'녹지 등 비공원 시설로 개발하는 안을 시에 제시한 바 있다.

대구대공원 부지는 2020년 7월이면 일몰제로 공원부지에서 해제될 예정이어서 자칫 아무것도 할 수 없는 땅으로 방치되는 것을 주민들과 수성구청은 가장 우려하고 있다.

구청 관계자는 "도시기본계획 변경, 도시관리계획 변경, 공원조성계획 변경 등 앞으로 할 일이 정말 많다. 올해 안에는 반드시 결론이 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대구시는 여전히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단순히 공원 부지면 민간사업자 공모를 하고 빠르게 추진하면 되지만 이곳은 개발제한구역으로 묶여 있기 때문에 좀 더 까다로운 검토 과정이 필요하다"며 "선뜻 개발제한구역을 해제하고 공원 부지 조성 계획을 수립할 수도 없는 노릇 아니냐. 아직 업체의 공식 제안이 없고 정식 제안이 오면 검토하겠다"고 해명했다.

수성구 삼덕동 대구삼성라이온즈파크 옆 대구미술관 일대에 지정된 대구대공원 부지는 1993년 공원 부지로 지정됐지만 예산 문제로 전체 계획부지 187만8천여㎡(약 56만 평)의 89%인 168만6천여㎡(약 51만 평)가 미개발 상태로 방치돼 있다.

공원 부지 인근의 고산'지산'범물 지역 주민 4천800여 명은 지난달 말 대구대공원 부지가 개발제한구역(1972년)과 대구대공원 예정부지(1993년)로 중복규제를 받고 있는 만큼 시가 빨리 공원을 조성하거나 개발제한구역을 해제할 것을 요구하며 탄원서를 제출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