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대 탄소 배출국' 인도, 파리기후협정 비준…협정 발효 눈앞에

입력 2016-10-03 13:40:13

세계에서 3번째로 많은 온실가스(탄소) 배출국인 인도가 2일(현지시간) 파리 기후변화협정을 공식 비준했다.

 아닐 마다브 데이브 인도 환경부 장관은 이날 자신의 트위터에 인도가 파리 기후변화협정 비준서를 유엔에 기탁했다며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국제적 행동을 촉구하는 중요한 노력"이라고 글을 올렸다.

 앞서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지난달 25일 남부 케랄라 주 코지코데에서 여당 당원들을 만난 자리에서 이날 파리기후변화협정을 비준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모디 총리는 당시 "'인도 독립의 아버지' 간디가 탄소배출을 최소화하는 생활 모습을 보여줬다"며 "그의 생일(10월2일)에 맞춰 파리기후변화협정을 비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인도는 지난해 12월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1)에서 협정 채택에 주도적 역할을 했지만,이후 협정 비준에는 다소 소극적인 모습을보였다.

 그러나 세계 1,2위 온실가스 배출국인 중국과 미국이 지난달 주요 20개국(G20)정상회의 개막을 하루 앞두고 이 협정을 공식 비준한 것이 인도의 결정에 영향을 줬으리라는 분석이 나온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인도의 비준 직후 "간디는 우리 어린이들이 살 가치가 있는 세계를 만들고자 하는 신념이 있었다"면서 "파리협정에 가입함으로써 모디 총리와 인도 국민은 이 정신을 이어갔다"고 자신의 트위터에 글을 올렸다.

 파리 기후변화협정은 산업화 이전 수준과 비교해 지구의 평균온도가 섭씨 2도 이상 상승하지 않도록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는 것을 목표하고 있다.협정이 발효하면 회원국은 이를 위해 스스로 약속한 정책을 이행해야 한다.

 세계 전체 온실가스의 4.5%를 배출하는 인도의 비준에 따라 협정 발효가 눈앞에다가오게 됐다.

 인도 외에 지금까지 이 협정을 비준한 회원국은 61개국으로 협정 발효를 위한 최소 충족요건인 55개국을 이미 넘어섰다.

 하지만 비준국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55% 이상에 이르러야 하는데 인도가 비준하기 전 총합이 47.5%로 7.5% 부족했기에 협정이 발효하지 못했다.

 인도에 이어 온실가스 배출량 1.95%인 캐나다가 곧 비준을 앞두고 있는 데다 유럽연합 28개 회원국도 지난달 30일 비준 절차를 서두르기로 합의했기에 연내 협정 발효는 무난히 이뤄질 것으로 관측통들은 전망하고 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