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스가 25일(현지시간) 국민투표에서 국가연금 지급액을 10% 올리자는 이른바 '국가연금(AHV) 플러스' 법안을 부결시켰다.
투표율은 42.6%로 낮았지만 반대 의견이 59.4%로 10명 중 6명은 연금 지급액 인상을 반대했다.
스위스의 연금 제도는 국가연금과 기업연금(Pensionskasse), 개인연금 등 3가지 연금제도가 주축이다.
AHV는 일을 하기 시작할 때부터 퇴직할 때까지 소득에 따라 일정 금액을 납부하면 받을 수 있고, 회사에서 의무적으로 가입하는 기업연금은 낸 돈에 이자까지 받기 때문에 저축의 성격이 강하다.
3가지 연금을 합하면 스위스 국민은 은퇴 후에도 일하던 때의 80% 정도를 소득으로 보장받는다.
스위스노총의 주도로 2013년 10월 11만1천683명의 서명을 받아 추진된 'AHV 플러스' 법안은 개인이 납부하는 국가연금과 관련해 지급액을 10% 올리자는 내용을 담고 있다.
저소득층과 중간 소득층은 기업연금이나 개인연금보다 국가연금 의존도가 높아서 수급액을 올려야 한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반면 스위스 정부는 이 안이 통과되면 2년 뒤에는 국가연금에만 40억스위스프랑(한화 4조6천억원)의 추가 재원이 필요하다며 반대했다.
23개 주와 6개의 반주를 포함한 26개 칸톤(州) 가운데 찬성률이 더 높은 곳은 5개 칸톤뿐이었다.
스위스는 올해 6월에도 모든 국민에게 최소한의 소득을 보장하자는 기본소득법을 국민투표에서 부결시켰다. 26개 주 모두 압도적으로 반대표가 나왔다.
스위스는 전반적으로 소득수준이 높고 연금 제도가 잘 돼 있어서 오히려 세금에 더 민감하다.
연금을 당장 10% 더 받거나 기본소득을 보장받게 되면 좋을 것 같지만, 그로 인해 추가로 부담해야 하는 세금이 적지 않을 게 뻔하기 때문에 매번 투표에서 반대 여론이 더 높게 나타난다. 연합뉴스
스위스가 25일(현지시간) 국민투표에서 국가연금 지급액을 10% 올리자는 이른바 '국가연금(AHV) 플러스' 법안을 부결시켰다. 전반적으로 소득'연금 수준이 높은 데다 연금지급액을 더 올릴 경우 세금 부담이 늘어날 것에 대한 반감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정부 관계자들이 이날 베른에서 국민투표 결과를 밝히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